문재인 대통령이 25일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열린 6·25전쟁 제70주년 행사에 참석해 국군전사자 유해함에 6.25참전 기장을 수여하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열린 6·25전쟁 제70주년 행사에 참석해 국군전사자 유해함에 6.25참전 기장을 수여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서예진 기자  청와대는 26일 북한에서 발굴된 6·25전쟁 국군 전사자 유해 총 239구의 국내 송환 절차가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5일 6·25전쟁 70주년 기념식에서 147구의 국군 전사자의 유해가 봉환됐다. 

윤재관 청와대 부대변인은 이날 오전 춘추관 브리핑에서 유해 봉환 과정을 소개하며 “여기에는 지난 25년간 북미 대화와 한미 공동감식 노력이 담겨있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1990년대 초 개천시 장진호 지역 등 4곳에서 단독 발굴 사업을 해서 유해 208상자를 미국에 보냈다. 이때까지만 해도 이 유해 속에서 국군 전사자 유해를 찾을 수 있을지 의문이 있었다.

이후 1996~2005년 미국과 북한이 공동으로 발굴 사업을 진행한다. 첫 시작은 북한이 단독 발굴한 유해를 미국에 송환하면서 미국이 발굴 사업에 필요성을 느끼게 되면서다. 

북미가 10년간 발굴 사업을 한 유해 중 한미가 2011년부터 공동으로 감식을 하게 됐다. 이에 2012년 이명박 대통령 당시 국군전사자로 판명난 12구를 모셔오는 첫 봉환행사를 하게 됐으며, 신원확인이 된 유해는 4구였다. 이어 2016년 16구에 대한 봉환 행사, 2018년에는 65구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 주관 봉환 행사가 열렸다.

또 전날 6·25 70주년 기념식에 실려온 147구의 유해는 북한이 1994년과 2018년 미국에 보낸 유해 상자에서 찾아낸 것이다. 70구는 1994년 북한이 미국에 보낸 208상자의 유해에서, 77구는 20187년 북미정상회담 합의사안에 따라 북한이 자체 발굴한 유해 55상자에서 발견된 것이다.

윤 부대변인은 “그동안 1만500여구의 국군 유해를 발굴했지만, 신원이 확인된 유해는 149분뿐”이라며 “유가족의 DNA 확보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발굴된 유해를 가족의 품으로 모시기 위해서는 신원 확인이 필요한 유가족의 DNA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며 “아직도 신원 확인을 못한 유해들을 가족의 품으로 돌려줄 수 있도록 (DNA 채취 작업에) 많은 호응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가족들이 유해감식발굴단에 적극적으로 연락해 DNA 시료 채취가 활발히 이뤄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어 “정부는 70개 지역에서 전사자 유해발굴을 추진 중”이라며 “마지막 한 분의 유해를 찾을 때까지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취임 당시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적극적인 유해발굴사업을 선정한 이후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에 9·19 남북군사합의서에 비무장지대내의 시범적으로 남북유해공동발굴을 진행한다는 내용을 담기도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