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가율 96.7% 기록한 강서구 자치구 중 ‘깡통전세’ 위험 가장 높아

23일 서울시가 올해 2분기 ‘전·월세 시장지표’를 공개했다. /뉴시스
올 2분기 서울시 연립·다세대주택 평균 전세가율은 84.5%를 기록했다.  /뉴시스

시사위크=김필주 기자  서울 강서·금천·양천구의 연립‧다세대주택 전세가율이 올 2분기 신규 계약 기준 매매가격의 90%를 넘어서면서 ‘깡통전세’ 위험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전세가율은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을 뜻한다. 전세가율이 높을수록 보증금을 돌려 받지 못하는 ‘깡통전세’일 가능성이 크다.

부동산업계는 통상 전세가율이 80% 이상일 경우 ‘깡통전세’ 위험 신호로 보고 있다.

23일 서울시가 서울주거포털 내 전월세 정보 몽땅을 통해 공개한 ‘전·월세 시장지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서울 내 연립·다세대주택(빌라)의 신규 계약 평균 전세가율은 84.5%, 갱신 계약은 77.5%로 각각 집계됐다. 

자치구별로 신규 계약 전세가율을 살펴보면 강서구가 96.7%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뒤이어 금천구(92.8%)와 양천구(92.6%)가 각각 2‧3위를 차지했다. 

또한 관악(89.7%), 강동(89.6%), 구로구(89.5%), 송파구(88.2%), 도봉구(87.7%), 성북구(87.0%), 강북구(86.9%) 등은 서울 평균치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마포구(79.3%), 노원구(78.7%), 성동구(74.1%), 용산구(56,9%) 등은 평균치 보다 낮은 전세가율을 기록했다.

2분기 월별로 살펴보면 강서구는 4‧5‧6월 각각 98.1%, 95.9%, 96.0%의 전세가율을 기록하면서 서울 자치구 중 가장 ‘깡통전세’ 위험이 큰 지역으로 분석됐다.

강서구는 그동안 ‘깡통전세’ 주요 위험지역으로 자주 거론 됐다. 분양업자와 짜고 2017년 4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임대인 136명으로부터 보증금 총 298억여원을 가로챈 이른바 ‘세모녀 전세사기’도 강서구에서 발생했다.

이달 초 부동산 플랫폼 ‘다방’이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강서구는 올 상반기 전체 전세거래 694건 중 절반이 넘는 370건이 ‘깡통전세’인 것으로 집계되기도 했다.

같은 기간 금천구의 전세가율은 95.2%, 92.0%, 91.2%로 각각 집계됐고 양천구는 94.7%, 91.2%, 91.9%의 전세가율을 보였다.

반면 용산구는 올해 4~6월 동안 각각 56.5%, 59.2%, 54.9% 등 평균 50%대의 전세가율을 기록하면서 자치구 중 ‘깡통전세’ 위험이 가장 낮았다.

이날 서울시가 시범 공개한 ‘전·월세 시장지표’는 서울 지역에서 이뤄진 주택 매매 및 전·월세 신고 자료를 토대로 동일 층‧면적에서 실제 거래 내용을 비교 분석한 뒤 산출됐다. 

이번에 공개한 항목은 지역·면적·주택유형별 전월세 임차물량 예측 정보, 25개 자치구 지역별 전세가율, 전월세 전환율 등이다.

서울시는 앞으로 갱신 계약 과정 중 계약갱신요구권을 사용한 계약과 그렇지 않은 계약, 신규 계약 가운데 갱신 없이 만료되는 물량 등을 추가 공개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