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확률형 아이템을 규제하는 ‘게임산업법’ 개정안이 시행됐다. 사진은 지난해 부산 벡스코 전시장에서 개최된 게임 축제 '지스타 2023'에서 이용자들이 게임을 플레이하는 모습. / 조윤찬 기자
22일 확률형 아이템을 규제하는 ‘게임산업법’ 개정안이 시행됐다. 사진은 지난해 부산 벡스코 전시장에서 개최된 게임 축제 '지스타 2023'에서 이용자들이 게임을 플레이하는 모습. / 조윤찬 기자

시사위크=조윤찬 기자  게임 내 확률형 아이템 정보 공개 의무 제도가 시행됐다. 게임업계는 이미 자율규제로 확률정보를 공개하고 있어 대응이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게임업계는 이를 계기로 이용자들이 확률형 아이템을 부정적으로 보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 게임업계, 정액제·패스형 상품 강화

22일 확률형 아이템을 규제하는 ‘게임산업법’ 개정안이 시행됐다. 유료 확률형 아이템이 정보 공개 규제 대상이다.

세부적으로는 △유료 확률형 아이템 △유료 아이템과 무상 아이템을 결합 △무료 아이템을 유료 확률형 아이템으로 교환할 수 있는 간접적인 방식 등이 해당된다.

게임사들은 인터넷 검색이 가능한 형태로 홈페이지에 관련 확률정보를 알릴 수 있고, 게임 내 구매 화면에서 표시할 수 있다. 규제는 문화체육광관부 산하 게임물관리위원회가 담당한다.

한국게임산업협회는 2015년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를 도입한 바 있다. 국내 게임업계는 자율규제 경험이 있어 규제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게임업계는 지난해 2월 ‘게임산업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계기로 신작의 BM(비즈니스모델)에서 확률형 아이템의 비중을 낮추는 것이 눈에 띄고 있다.

넷마블에 따르면 개발 중인 신작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의 주력 BM은 정액제와 패스다. 해당 게임에는 일부 확률형 아이템도 포함된다. 권영식 넷마블 대표는 19일 신작 쇼케이스에서 “최근 패스와 정액제 기반의 과금모델이 효과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출시된 엔씨소프트의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 ‘THRONE AND LIBERTY’(TL)는 성장을 돕는 배틀패스 상품이 주요 BM이다. 엔씨는 TL에 확률형 아이템을 배제했다.

넥슨은 일찍이 지난해 1월 ‘카트라이더: 드리프트’를 확률형 아이템 없이 출시했다. 지난 1월에는 대표 게임 ‘메이플스토리’의 확률형 아이템 ‘큐브’ 판매가 중단됐다. ‘큐브’는 일정 확률로 게임 장비의 능력치를 높이는 아이템이었다.

◇ 게임업계 “확률, 게임성 높이는 요소”… ‘페이 투 윈’ 우려

확률형 아이템 규제 시행으로 게임사는 광고에도 게임에 확률형 아이템이 포함됐다는 문구를 알려야 한다. 사진은 카카오게임즈가 서비스하는 ‘아키에이지 워’ 광고 하단에 ‘확률형아이템포함’ 문구가 작게 표시된 모습. / 휴대폰 화면 캡처
확률형 아이템 규제 시행으로 게임사는 광고에도 게임에 확률형 아이템이 포함됐다는 문구를 알려야 한다. 사진은 카카오게임즈가 서비스하는 ‘아키에이지 워’ 광고 하단에 ‘확률형아이템포함’ 문구가 작게 표시된 모습. / 휴대폰 화면 캡처

게임업계에서는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생겨나는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확률형 아이템의 긍정적인 요소를 봐주길 바란다”며 “확률이 없으면 게임이 재미가 없어진다. 3,000원 확률형 아이템으로 3만원의 효과를 내는 경우가 생기게 해 확률형 아이템은 게임의 재미를 증폭시켜 주는 수단이 된다”고 말했다.

확률형 아이템이 사라지면 게임에 돈을 적게 쓰거나 아예 무과금인 이용자는 게임 내에서 좋은 성과를 내기 힘들어진다는 설명이다.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산하면 게임사가 확률 콘텐츠를 이용해 게임성을 높이는 방법이 제한될 수도 있다.

이 관계자는 “정액제 상품 등으로만 게임 BM이 구성된다면 돈 많은 사람이 이기는 P2W(Pay to win) 게임이 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P2W 게임은 이기기 위해서는 돈을 지불하라는 의미로 과금 이용자가 게임 내 경쟁에서 유리한 게임을 말한다.

한편 넥슨은 2010년 9월 15일부터 2021년 3월 4일까지 기간 게임 내 잘못된 확률정보를 공개해 지난 1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116억원(잠정)의 과징금 처분을 받았다. 이에 최근 넥슨은 소비자들로부터 손해배상 집단 소송을 겪는 중이다, 지난달 500여명으로 시작한 해당 소송은 향후 규모가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정치권에서도 게임이용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입법이 활발하다.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은 게임사가 이용자에게 잘못된 확률형 아이템 정보로 피해를 주면 손해액의 2배까지 손해배상을 하도록 하는 내용의 ‘게임산업법’ 개정안을 지난 19일 발의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