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오른쪽) 미래통합당 원내대표와 원유철 미래한국당 당대표가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합당 논의기구를 구성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주호영(오른쪽) 미래통합당 원내대표와 원유철 미래한국당 당대표가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합당 논의기구를 구성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정호영 기자 미래통합당이 비례대표용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과 합당하기로 했지만, 시기와 방식 등이 여전히 명확치 않아 결과를 도출하기까지 진통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통합당은 제20대 국회 종료일인 29일까지 합당을 마치려는 입장인 반면, 한국당이 당대표 임기 연장에 나서면서 어정쩡한 모양새가 됐다.

두 당은 표면적으로 합당을 위한 최소한의 수순은 밟아가고 있다.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 겸 당대표 권한대행과 원유철 한국당 대표는 지난 14일 ‘양당의 조속한 합당’을 결의했고, 합당 논의를 위한 수임기구도 구성했다.

합당 수임기구에 각 당 2명씩 참여하기로 합의해 통합당은 김상훈·이양수 의원을, 한국당은 염동열 의원과 최승재 당선인을 배치했다. 본격적인 논의는 이주부터 시작할 예정이다.

다만 한국당이 원 대표 임기를 연장하기 위한 움직임에 나서면서 21대 국회 개원 이후까지 합당이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원 대표의 기존 임기는 20대 국회 종료일과 같은 29일까지다.

한국당 지도부는 지난 1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29일로 제한된 원 대표의 임기를 ‘합당 시까지’ 연장하는 안건을 26일로 예정된 전당대회에 올리기로 했다. 연장 임기는 최대 3개월(최대 8월 30일)을 넘지 못하도록 하는 전제조건을 달았다.

이와 관련, 원 대표는 당시 최고위 직후 열린 당선자 간담회에서 “통합이 29일까지 완료되면 최상이나 지도부 공백사태 가능성을 차단시키자는 취지”라고 답한 바 있다.

또 원 대표는 21대 국회 상임위 배정과 관련 총선에서 확보한 19석 기준으로 통합당과 투트랙 논의를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국당 상임위 배정은 합당 수임기구의 논의와는 별개라는 것이다.

따라서 21대 국회가 열려도 당분간 양당이 독자노선을 걸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반면 통합당은 즉각적인 통합을 원하고 있다. 주호영 권한대행은 지난 15일 한국당을 향해 “우리는 전국위원회만 하면 되고, 저쪽도 당헌당규상 최고위 회의만 하면 된다”며 “우리는 준비가 다 돼 있으니 저쪽이 빨리 해줘야 한다”고 주문했다.

합당 시기뿐 아니라 방식을 놓고도 마찰이 빚어질 수 있다.

원 대표가 통합당과의 합당 방식에 대해 흡수합당이 아닌 당대당 합당을 거론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통합당과의 합당은 동의했지만 합당명, 지도부 구성 및 상임위 배분, 사무처 직원 배치 등에서 한국당이 일정 지분을 요구할 수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따라서 통합당 일각에서는 한국당의 이같은 행보를 고려할 때 이달 합당은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는 모습이다.

통합당 관계자는 18일 <시사위크>와 통화에서 “일단 연찬회가 끝나면 수임기구간 본격적인 협상을 할 수 있을 텐데 (합당 논의가) 너무 늦은 감이 있다. 총선이 끝나자마자 진행했어야 했다”면서 “어쩔 수 없이 5월을 넘기더라도 최대한 서둘러 합당하는 게 맞다는 생각”이라고 전했다.

합당 시점이나 방식에 대해 양당간 잡음의 여지는 있지만 결국 합당이 전제된 논의인 만큼, 한국당만의 별도 교섭단체 구성과 관련해서는 정치권 안팎에서 소문만 무성한 분위기다.

한국당은 무소속 당선인 또는 국민의당 등 타 정당과의 연합을 통해 1석 이상을 추가한다면 교섭단체를 구성해 독자세력화가 가능하다. 이 경우 21대 국회 원 구성 협상에 참여할 수 있고 분기별 국고보조금 확보도 가능하다. 향후 더불어민주당과 협상 과정에서 통합당과 협공할 수 있는 여지도 생긴다.

한국당은 독자세력화 가능성에 대해 경계하고 있으나 합당 시점을 명확히 못박지 않는 한 잡음은 계속해서 터져나올 가능성이 높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