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월 31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로마 누볼라 컨벤션 양자회담장에서 열린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의 정상회담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월 31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로마 누볼라 컨벤션 양자회담장에서 열린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의 정상회담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서예진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12일부터 3박 4일간의 일정으로 호주를 국빈방문하기로 한 가운데, 일각에서 ‘대통령의 호주 순방은 중국을 견제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제기됐다. 그러나 청와대와 정부는 이같은 해석에 ‘무리가 있다’고 반박했다. 

지난 8일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춘추관에서 취재진의 ‘호주 국빈방문 일정에서 핵심 광물이나 방산 분야 협력은 중국과 관련돼 있는데, 중국의 반발을 예상하고 있느냐’는 취지의 질문에 대해 “중국 측도 여러 나라들과 협력을 하고 있고, 한국도 이런 협력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중국의 측면에서만 보는 것은 조금 무리가 있다”고 대답했다.

이 고위관계자는 “한국과 호주는 지금 수교 60주년의 역사를 갖고 민주주의나 시장경제 등 공통의 가치를 토대로 해서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해 왔다”며 “문 대통령의 호주 국빈 방문은 모리슨 총리의 거듭된 초청에 따른 것이고, 이번 방문을 계기로 해서 글로벌 공급망이라든가 방산, 경제, 인적 교류 등 다양한 협력이 강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종건 외교부 1차관 역시 9일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 인터뷰에서 ‘문 대통령의 호주 방문이 ’오커스‘(미국·영국·호주 3자 외교안보협의체) 동조라는 지적이 있다’는 해석과 관련해 “그런 의도는 전혀 없다”고 말했다. 오커스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 견제 전선을 강화하기 위한 안보 동맹이다. 

최 차관은 “그렇게 읽힐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알겠는데, 그러면 대한민국 대통령이 영국을 방문하면 중국을 견제하는 것이고, 미국을 방문하면 중국을 견제하는 것이냐”며 “우리의 필요에 따라 특히 공급망 안정, 핵심 원료 그리고 미래 경제 분야에서 양국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문 대통령이 호주를 방문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가 탄소중립화를 하려고 하는데 주요 파트너와 만나서 언제든지 협의할 수 있다”며 “그것(대통령의 호주 방문)이 어떻게 읽히느냐는 우리가 어떠한 메시지를 내느냐에 달려 있을 텐데, 저희는 주변국에 대한 특정 메시지를 염두에 둔 적은 없다”고 말했다. 

현재 호주는 미국과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와 같이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상황이다. 외교적 보이콧이란 올림픽에 선수단은 보내지만, 정부 대표단은 파견하지 않는 것을 뜻한다. 

또 중국은 호주의 최대 수출국일 정도로 양국은 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였으나, 호주가 미국 주도 아래 중국 기업 화웨이 제재와 코로나19 발원지 조사 요구에 동참하면서 틀어졌다. 이후 중국은 호주산 석탄과 바닷가재, 와인 등의 수입을 막아 보복했고, 호주는 9월 미국, 영국과 함께 중국의 안보 위협에 대응하는 오커스를 출범한 것이다. 

이 때문에 중국과 호주의 관계가 불편해진 가운데, 문 대통령이 호주를 방문하는 것이 중국을 견제하겠다는 메시지인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 것이다. 특히 중국발(發) 요소수 품귀 현상이 있었던 당시 호주가 군 수송기편 요소수 수송 과정에서 적극 협력한 바 있어, 이번 국빈 방문에서 호주와 핵심 광물 협력 논의를 통해 중국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는 것이라고 풀이되기도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