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7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뉴시스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7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뉴시스

시사위크=서예진 기자  ‘반윤’(反윤석열)으로 대표되는 유승민 전 의원이 국민의힘 당권 경쟁에서 두각을 드러내면서 ‘친윤’(親윤석열)이 당권 사수를 위해 전열을 가다듬는 모양새다. 그러나 이같은 시도가 유효하게 작용할지 미지수다. 

◇ 교통정리·전당대회 룰·당협 정비

이준석 전 대표가 국민의힘 상대로 제기한 가처분 소송 결과가 ‘정진석 비대위 유효’로 나오면서 이로 인한 내홍은 사실상 가라앉는 분위기다. 이 때문일까. 17일 현재 국민의힘 당권주자들은 각자 선명성 짙은 메시지를 쏟아내기 바쁘다. 최근 당권주자들 사이에서 ‘자체 핵무장’, ‘NPT 탈퇴’ 등의 주장이 나온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그리고 당권주자들끼리도 견제구가 오가고 있다. 

당권주자들 사이에서 가장 두각을 드러내는 사람은 유승민 전 의원이다. 유 전 의원은 사실상 ‘반윤’, 비주류로 분류된다. 그렇기에 ‘친윤’ 진영의 당권주자가 난립하는 형국에서 친윤의 ‘당권 사수’가 어려워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친윤 진영으로 꼽히는 당권주자는 김기현·안철수·윤상현·주호영·정진석·나경원·권성동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나경원 전 의원이 대통령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임명됐다. 나 전 의원도 차기 당권 도전 의사가 있다고 알려진 만큼, 정치권에서는 친윤 당권주자의 단일화 작업이 시작됐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또 ‘전당대회 룰’ 정비도 친윤의 당권 사수를 위한 채비라고 보는 인식이 있다. 당대표를 뽑을 때 ‘역선택 방지조항’이 들어가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당대표 경선 방식은 ‘당원투표 70%, 일반 여론조사 30%’였는데, 여론조사 비중을 줄이거나 아예 없애자는 의견이다. 이 경우 여론조사에서 우세한 유 전 의원이 표를 얻기는 쉽지 않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는 당협위원회 정비도 앞두고 있다. 국민의힘 비대위는 내달 조강특위를 구성해 공석인 68개 당협위원장을 공모한다는 계획이다. 내년 초 당무감사도 실시해 부실 당협위원장을 교체할 방침이다. 당협위원장은 당내 선거에서 ‘조직표’를 움직일 수 있는 자리다. 게다가 오는 19일 윤석열 대통령이 원외 당협위원장을 용산 대통령실로 불러 오찬 간담회를 한다. 친윤의 전열 정비라는 해석에 힘을 더해주는 행보인 셈이다. 

◇ 친윤의 ‘전열 정비’ 효과 미지수

이같은 시도가 비판 없이 쉽게 성사될 지는 미지수다. 일단 ‘친윤 교통정리’부터 살펴보자. 나 전 의원이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임명되자 정치권에서는 전당대회 출마 가능성이 줄어들었다고 해석한다. 이는 친윤 당권주자의 수가 줄어들었다는 의미다.

그런데 나 전 의원은 이같은 해석에 동의하지 않는 모습이다. 그는 이날 오전 YTN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 출연해 “이 자리의 직무가 어떤 다른 당적이나 당권 관련된 것이 배제되거나 배척되지는 않는 걸로 알고 있다”며 “(부위원장 직은) 비상근 자리이기 때문에 어떤 제한이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자신의 당권 도전 가능성을 완전히 닫아두지 않은 셈이다. 

정옥임 전 새누리당 의원도 이날 YTN ‘뉴스LIVE’에 출연해 ‘용산이 친윤 교통정리 중이다’라는 해석에 “어떻게 보면 나경원이라는 카드를 살려놓는 게 전당대회 컨벤션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며 “지금 누구에 의해 오케스트라 지휘하듯 하고 있는지는 모르지만, 이거 빼고 저거 빼고 뺄셈의 정치로 하다 보면 지지도를 견인할 수 있는 카드가 남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친윤계에서 ‘믿을 만한’ 사람들만 당권주자로 남겨두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다. 

전당대회 룰 정비도 비판을 받고 있다. 당내 입지가 있는 당권주자들을 위한 룰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당원투표 비중이 높을수록 민심과 유리된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도 있다. 유승민 전 의원은 이날 MBC ‘뉴스외전’에 출연해 “당심만 너무 중요시하고 민심과 거리가 있는 당대표를 뽑으면 5년 내내 여소야대로 간다”고 우려했다. 

‘당협 정비’ 또한 당 일각에서는 ‘이준석계 솎아내기’ ‘윤심(尹心)이 작용할 것’ ‘줄세우기’ 등의 비판이 나온다. 이 전 대표가 재직할 당시 16개 지역 당협위원장이 내정됐는데, 당 윤리위 징계 등으로 최고위 의결을 거치지 못했다. 만약 ‘이준석계 솎아내기’가 의도였다면 이 16명 중 대다수가 임명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이같은 비판에 김행 비대위 대변인은 이날 자신의 SNS에 “어처구니 없는 비난” “시대착오적인 생각”이라고 강변했다. 김 대변인은 “총선이 끝난 지 2년6개월인데 70개에 가까운 당협위원장이 공석이다. 당헌상 1년에 한번 씩 반드시 해야 하는 당무감사를 총선 이후 실시하지 않았다”며 “당의 정상화·안정화를 위해 더 이상 미뤄서는 안될 작업이다. 그 일을 비대위가 하겠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근거자료 및 출처


-나경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인터뷰 : YTN ‘뉴스킹 박지훈입니다’
https://radio.ytn.co.kr/program/?f=2&id=85607&page=1&s_mcd=0214&s_hcd=01
-정옥임 전 의원 인터뷰 : YTN ‘뉴스LIVE’
https://www.ytn.co.kr/_ln/0101_202210171103025942
-유승민 전 의원 인터뷰 : MBC ‘뉴스외전’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1400/article/6417782_35722.html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