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총선’이 75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아직 선거제를 두고 고심하는 모습이다. 사진은 이재명 대표가 2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4‧10 총선’이 75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아직 선거제를 두고 고심하는 모습이다. 사진은 이재명 대표가 2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시사위크=전두성 기자  ‘4‧10 총선’이 75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아직 선거제를 두고 고심하는 모습이다. 병립형 비례대표제 회귀와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유지를 두고 당내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박주민 원내수석부대표는 26일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당내 이견이 있고 그것이 팽팽하면 아무리 지도부라 하더라도 한쪽 방향으로 정리하기가 쉬운 건 아니다”라며 “보통은 의원총회를 연속해서 잡는다든지 해서 이견을 좁힌다. 그래서 그런 과정이 앞으로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당초 전날(25일) 열린 의원총회에서 선거제 방식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전망됐지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야당 간사인 김영배 의원의 보고만 있었을 뿐 별도 논의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가운데 현재 당내에선 병립형 회귀와 준연동형제 유지를 두고 논의가 오가고 있다. 다만 병립형 회귀를 택할 경우 대선 당시의 약속을 파기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는 만큼 병립형 회귀를 택하면서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택하는 방식이 대안으로 떠올랐다. 

대표적인 것이 임혁백 공천관리위원장이 제안한 ‘소수 정당 배분 권역별 비례대표제’다. 이는 비례대표를 권역별(수도권‧중부권‧남부권)로 뽑고, 소수 정당과도 비례대표 의석을 나누겠다는 것이 골자다. 

구체적으로 3% 이상 득표한 소수 정당에게 비례대표 의석 47석 중 30%를 나눠주고 남은 의석을 두고 양당이 경쟁하는 방식이다. 이는 병립형 회귀를 하는 동시에 소수정당의 원내 진입도 보장하겠다는 취지로 보인다.   

◇ 무게 실린 ‘병립형 회귀’

이러한 상황에서 당내에선 병립형 회귀에 좀 더 무게가 실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이번 총선을 윤석열 정권에 대한 심판 선거로 끌고 가야 한다는 점에 대해 당내 이견이 없는 만큼 준연동형제 도입으로 제3지대와 의석을 나누는 것을 피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지난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민주당은 과반수 제1당을 놓칠 수 없다. 국회의장을 뺏기고, 국회마저 윤석열 정권에게 내줄 수 없다”며 “지역구만으로 151석이 가능한가. 비례도 똑같은 1석”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승리가 선이고 패배가 악이다. 나는 민주당 압승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병립형 회귀에 힘을 실었다. 또 정 최고위원은 전 당원 투표를 통해 선거제를 결정하자는 제안도 했다.

민주당의 한 의원도 병립형 회귀를 원하는 의원들이 좀 더 많은 것 같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그는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병립형 회귀와 준연동형제 유지 중 병립형 회귀를 원하는 의원이 좀 더 많은 것 같다”며 “지지자들은 7대3 정도로 병립형 회귀를 원하는 수가 훨씬 많다”고 했다.

그러면서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염두에 두고 있다”며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지역 정치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 의원은 “지도부 내에서도 일부 준연동형 의견이 있긴 하지만 병립형 회귀 의견이 더 많다고 한다”며 분위기를 전했다.

향후 민주당은 이러한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이중 후보 등록제(지역구와 비례대표 후보를 함께 등록하는 방식) 안을 갖고 정개특위에서 국민의힘과 협상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당 지도부의 한 의원은 통화에서 “국민의힘은 병립형을 제안하고 있다. 어찌 됐든 민주당이 의미 있는 제안을 해야 한다”면서도 “완전 병립형은 수용할 수 없고, 권역별과 이중 후보 등록제까지는 받아야 협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