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전력분석시험평가단과 연구 협력 MOU체결
‘차세대 함정 전동화 분야 기술 개발’ 진행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국내 연구진이 해군과 차세대 함정의 전동화 기술 개발을 공동 진행한다. 우리 해군의 전력 상승 및 국가 안보 강화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국전기연구원(전기연)은 해군 전력분석시험평가단과 ‘차세대 함정 전동화 분야 기술 개발 및 교류 활성화 업무 협약(MOU)’을 지난 11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은 전기연 창원 본원에서 개최됐다.
최근 육상의 전기차처럼 함정 분야에서도 전기추진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전기추진 시스템은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이나 발전기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해 추진 모터를 구동한다. 친환경 방식에 연료 비용도 저렴해 차세대 선박 추진 기술로도 손꼽힌다.
이때 전기추진 시스템은 대규모 전력이 필요하다. 이는 대용량의 전기를 소모하는 레일건 등 미래 무기체계와 일시적으로 전력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전기추진 시스템이 탑재된 함정은 신무기 탑재가 가능하고 자동화·무인화·네트워크화를 위한 ICT체계도 구축할 수 있다.
전기연은 2015년 국내 최초, 세계 3번째(미국-영국-한국)로 구축하여 운영 중인 ‘전기선박 육상시험소(LBTS, Land Based Test Site)’를 통해 전기추진 체계 기반의 잠수함 및 선박 기술 개발을 진행한 바 있다. 이러한 노하우를 기반으로 해군 전력분석시험평가단과의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 해상 전력 강화에 이바지하는 차세대 함정 개발을 성공적으로 이끈다는 계획이다.
김남균 전기연 원장은 “함정의 전동화 및 첨단화를 통해 생존성과 작전 수행 능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며 “양 기관 협력을 통해 차세대 함정의 설계·건조 기간을 단축하고 관련 비용 절감에도 기여하는 등 해군 전력 증강에 큰 힘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