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0일 MBC 상암사옥에서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현장 국정감사에서 최민희 위원장은 MBC의 뉴스 보도 내용을 문제 삼았고, 이에 현장에 참석한 MBC 보도본부장이 부적절하다는 취지로 답하자, 최 위원장이 퇴장을 요구하며 공방이 발생했다. / 뉴시스
10월 20일 MBC 상암사옥에서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현장 국정감사에서 최민희 위원장은 MBC의 뉴스 보도 내용을 문제 삼았고, 이에 현장에 참석한 MBC 보도본부장이 부적절하다는 취지로 답하자, 최 위원장이 퇴장을 요구하며 공방이 발생했다. / 뉴시스

시사위크=김두완 기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MBC 현장 국정감사에서 최민희 위원장이 MBC 임원에게 퇴장을 요구한 일을 두고 정치권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과방위는 지난 10월 20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 사옥에서 비공개로 현장 국감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최 위원장은 국감 파행 상황을 다룬 MBC 보도와 관련해 불공정하다고 지적했으며, 이에 MBC 보도본부장은 “개별 보도 사안에 대한 질의는 부적절하다”는 취지로 답했다. 최 위원장은 이 발언을 문제 삼으며 퇴장을 명령했다. 이후 MBC 언론노조 등 언론계에서는 ‘언론 독립 침해’라며 사과를 요구했다.

최 위원장은 23일 입장문을 내고 “언론의 자유를 부정한 적은 없지만, 언론 또한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며 “사실관계를 왜곡한 보도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을 뿐”이라고 밝혔다.

입장문에서 그는 지난 19일 MBC 주요 뉴스에서 국정감사 관련 보도가 나간 데 대해 “과방위원들의 발언만 나열했을 뿐, 사실관계를 설명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다음날 아침 뉴스에서도 같은 내용이 보도됐다며 “한 달 전 의원 개인 간 문자 논란을 국감 현장과 혼동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또 “MBC가 김우영 의원이 욕설 문자를 보낸 것으로 오인될 만한 보도를 했다”며 “내 발언 또한 박정훈 의원의 주장을 인정한 것처럼 편집됐다”고 말했다. 이어 “국감 당시 기자 퇴장은 회의 비공개를 의미하지 않는다”며 “언론 취재 과열로 회의 질서가 흐트러져 잠시 퇴장을 요청했고, 이후 위원 합의로 비공개 전환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최 위원장은 MBC 보도본부장이 ‘개별 보도 질의는 부적절하다’고 항의한 데 대해 “질의의 정당성을 평가하는 행위가 부적절했다”며 “답변을 거부한 임원이 회의장에 있을 이유가 없어 퇴장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최 위원장의 행동을 “언론 길들이기”로 규정하며 사퇴를 촉구했다. 조용술 대변인은 논평에서 “국감장은 권력을 감시하는 공간이지 특정 언론을 몰아세우는 정치 보복의 무대가 되어서는 안 된다”며 “야당 시절 언론 자유를 외치던 최 위원장이 여당이 되자 언론 통제에 나섰다”고 비판했다.

조 대변인은 “이번 사태는 권력의 오만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최 위원장은 언론 탄압과 선택적 분노를 중단하고 과방위원장직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