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권신구 기자 스물아홉 번째 민생토론회 현장으로 제주를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제주의 해녀 문화 보존을 위한 적극 지원 의지를 내비쳤다.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해녀 문화를 중앙정부 차원에서 보존함으로써 제주의 관광 품격을 끌어 올리겠다는 복안이다. ‘관광 자원 개발’ 뿐 아니라 ‘인프라’ 확충에도 팔을 걷어붙이며, 제주를 세계적 관광지로 키우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15일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에서 ‘세계로 열린 청정한 섬 글로벌 휴양도시 제주’를 주제로 스물아홉 번째 민생토론회를 주재했다. 윤 대통령은 “제주에 올 때마다 이 나라의 보물이라는 생각이 든다”며 “제주의 강점과 특성에 더욱 집중해 확실한 발전 전략을 실천해 나간다면 훨씬 더 크게 도약할 수 있다고 저는 확신한다”고 했다.
제주의 도약을 위해 윤 대통령이 특히 주목한 지점은 ‘관광’이다. 제주는 2006년 531만명이었던 관광객이 지난해 1,334만명을 기록하며 관광 분야에서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왔다. 지역 내 총생산(GRDP) 역시 2006년 8조7,000억원에서 2022년 21조5,000억원을 달성했다. 이러한 지역의 특성에 중앙정부의 지원이 이어진다면 확실한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게 윤 대통령의 생각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제주의 자연과 문화유산 보존에 힘을 쏟겠다는 계획이다. ‘제주 해녀 문화’는 그중 하나다. 제주도의 해녀 문화는 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됐고, 2023년에는 세계중요농어업유산에 등재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지만, 해녀 인구 감소 등의 문제로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다. 제주도에 따르면, 1970년대 1만4,143명에 달했던 제주 해녀는 지난해 2,839명으로 감소했다. 그마저도 대다수가 60·70대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녀 인구 감소는 곧 주요 문화유산의 소실로 이어지는 만큼, 정부는 이를 막기 위한 다각적인 지원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해녀의 직업 질환 건강검진 비용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이를 활용한 관광상품 콘텐츠 발굴, 체험 프로그램 개발 지원사업을 내년도 예산안에 반영할 예정이다. 내년에 발표할 ‘제4차 어촌어항발전 기본계획’에는 해녀 어업의 보전과 발전 방안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 지원 내용도 담을 예정이다.
◇ “국내외 연결 강화”… 관광 인프라 확충
윤 대통령은 제주의 중요 역사 문화 자산인 ‘탐라 문화 관광 자원화’에도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약 400억의 예산을 투입해 ‘국립탐라문화연구센터’를 설립하고 문화유산 조사·연구 및 전시 및 교육을 수행하는 ‘복합역사문화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내년도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에 돌입해서 2030년에는 개관을 하겠다는 목표다.
‘관광 인프라’ 확충에도 목소리를 높였다. 우선 제주 신항의 원할한 건설을 지원해 향후 해운 물류와 크루즈 거점 항만으로 키울 예정이다. 제2공항 건설도 조속히 추진한다. 윤 대통령은 “올해 9월 국토교통부가 기본계획을 고시했다. 이번에는 제주도에서 실시하는 환경영향평가를 비롯해서 후속 절차를 기다리고 있다”며 “사업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제주와 적극 소통하면서 정부가 지원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제주를 도심항공교통(UAM) 시범운용구역으로 지원하겠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제주도의 천혜의 관광자원과 이를 결합할 경우 최상의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판단이다. 2025년 제주도가 민간 기업과 준비를 거쳐 시범운용구역 지정을 신청할 계획인 가운데, 정부는 이를 적극 뒷받침한다는 계획이다. 윤 대통령은 “UAM이 제주도의 관광 인프라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가 세심하고 꼼꼼하게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제주도에서 비행기로 2시간 거리에 인구 500만 명 이상의 도시가 18곳이나 있다”며 “그 가운데 서울, 상하이, 도쿄, 톈진, 베이징, 이 다섯 곳은 인구가 1천만 명이 넘는다”고 했다. 이어 “국내외의 연결을 강화하고 지역 자원을 특화해서 제주도를 더 많은 사람들이 찾는 세계적인 관광지로 중앙정부와 제주도가 힘을 합쳐서 만들어야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