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이강우 기자 정비사업이 진행될 1기 신도시 선도지구의 이주수요가 오는 2027년부터 2031년까지 연평균 3만4,000가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해당 지역에 예정된 주택공급이 이주수요보다 상회하지만, 일부 지역에선 일시적인 부족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분석된다.
8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하 대건연)은 1기 신도시 이주 지원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발간했다. 연구원 측은 국토교통부 및 정부가 부동산 임대차시장의 과열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선제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
대건연에 따르면 △분당 △일산 △평촌 △중동 △산본 등 1기 신도시 정비사업 선도지구의 이주수요는 앞으로 오는 2027년부터 2031년까지 5년간 총 17만1,100가구, 연평균 3만4,000가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리고 모든 1기 신도시 정비사업이 지구지정 이후 2년 이내에 관리처분 완료가 가능하다는 긍정적인 가정하에 동 기간 주택공급은 총 34만9,400가구, 연평균 6만9,900가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돼 이주수요 전망치를 충분히 상회할 예정이다.
다만, 수치상으로 공급물량이 이주수요 물량을 상회하지만, 연도별·지역별 주택수급 상황이 상이해 특정 지역에 일시적인 주택공급 부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게 대건연의 설명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분당의 경우 대규모 5년간 평균 1만2,900가구의 이주수요가 있지만, 2028년도엔 6,800가구, 2029년엔 5,400가구만 공급될 계획이다.
산본과 평촌의 경우도 각각 연평균 4,300가구와 4,800가구의 이주수요가 있으나 주택공급은 2027년부터 2029년까지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게 대건연 측의 설명이다.
대건연 측은 “2025년부터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1기 신도시 이주수요까지 발생할 경우 부동산 임대차시장이 과열될 여지가 크다”며 “국토부는 더욱 정밀한 1기 신도시의 수요 및 공급 예측 분석을 통해 1기 신도시 인근 지역의 주택공급 대책에 대한 속도를 높이거나 민간 주택 재개발 사업, 주거형 오피스텔, 비아파트 공급 등 더 다양한 주택공급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