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10일 이른바 ‘백골단(반공청년단)’에게 국회 기자회견을 잡아준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에 대해 국회 윤리위원회에 제소하고 ‘의원직 제명’도 검토하기로 했다. 사진은 김 의원이 지난해 10월 17일 광주 서구 광주시교육청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더불어민주당은 10일 이른바 ‘백골단(반공청년단)’에게 국회 기자회견을 잡아준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에 대해 국회 윤리위원회에 제소하고 ‘의원직 제명’도 검토하기로 했다. 사진은 김 의원이 지난해 10월 17일 광주 서구 광주시교육청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시사위크=전두성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10일 이른바 ‘백골단(반공청년단)’에게 국회 기자회견을 잡아준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에 대해 국회 윤리위원회에 제소하고 ‘의원직 제명’도 검토하기로 했다.

김용민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민주당은 국회에 백골단이란 사람들을 다시 들였던, 불행한 역사를 다시 반복하게 하려고 했던 김 의원에 대한 강력한 제재를 위해 저희가 제명안을 발의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그는 ‘국회 윤리위에도 제소하는가’라는 질문에 “맞다”고 답했다.

김 원내수석은 “백골단이라는 게 과거 전두환·노태우 군사정권 시절에 나왔던 정치 깡패들이었다. 굉장히 두려움을 많이 갖는 분들이 여전히 있다”며 “이런 상황들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가 굉장히 큰데 어제(9일) 다시 그 말이 등장해서 저는 깜짝 놀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도저히 말이 안 된다고 생각했다”며 “이 시기에 비상계엄까지 선포됐고 이걸 저희가 다시 한번 경험했던 상황이라, 어떻게 보면 그 연장선에 있는 거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고 지적했다.

김 원내수석은 “내란이 완전히 진압되지 않았다는 생각도 분명히 갖게 됐다”고 했다. 또 김 의원을 향해선 “지속적으로 비슷한 얘기들을 해왔던 사람이다. ‘법원의 영장이 잘못됐다’거나, 실제로 (대통령) 관저 앞에도 찾아가고 했던 분”이라며 “물리력을 동원할 수 있다는 생각을 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 부분은 저희가 도저히 용납할 수 없고 용서할 수 없는 행위라고 생각한다”며 “윤석열 내란에서 굉장히 중요했던 것 중 하나가 비공식 조직을 활용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 연장선이라고 본다”고 했다.

앞서 김 의원은 전날(9일) 반공청년단이라는 단체의 국회 기자회견을 주선한 바 있다. 이들은 기자회견에서 반공청년단을 공식 이름으로 정하고, 백골단은 ‘예하부대’로 두겠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관저 주변에서 감시활동을 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여기서 백골단은 1980년에서 1990년대 사이 시위를 진압하고 체포하기 위해 구성된 사복경찰을 일컫는다. 당시 하얀 헬멧을 쓴 채 활동해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논란이 일자 김 의원은 “금일 진행된 기자회견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고 했고, 반공청년단도 관저 앞 시위를 취소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