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이강우 기자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항공·공항 분야 민간 전문가 20여명이 참석하는 ‘항공안전 혁신 위원회’를 구성하고 첫 기획 회의를 4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발생한 여객기 참사와 화재 등 항공기 사고에 대한 후속조치로 항공안전체계 전반에 대한 개선방안을 만들기 위해 구성됐다.
국토부에 따르면 위원회는 오는 4월까지 약 10주간 운영되며, 항공운항 안전 분과 10명, 공항시설 개선 분과 10명이 총 20명의 민간 전문가가 참여한다.
앞으로 위원회는 저비용 항공사(LCC)의 △정비역량 제고 △높은 항공기 가동률 관리 △공항 건설·운영 규정 간 불일치 해소 등 항공 안전체계 쇄신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무엇보다 위원회 운영 과정에서 민간 전문가가 제시하는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항공 부문의 안전체계를 근본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대책을 모색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위원회는 항공·공항 각 분야의 현장점검과 국내·외 사례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오는 3월 말까지 항공 안전 전 분야에 걸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4월 초 공청회를 개최해 제도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수렴 이후 항공안전 혁신 대책을 최종적으로 확정할 계획이다.
백원국 국토교통부 제2차관은 “각종 항공기 사고 발생에 따라 항공안전 관련 제도개선은 현재 정부가 최우선으로 다루어야 할 과제”라며 “우리나라 항공안전 시스템의 신뢰 회복을 위해 정부는 항공안전 체계를 처음부터 다시 세운다는 결심으로 뼈를 깎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이강우 기자
precipitation12@sisaweek.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