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일 수 감소와 국내 경기 악화로 1분기 대형마트 업황이 우호적이지 않았던 가운데, 관세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워 시장에서는 실적 개선 기대감이 유효하다고 풀이했다. / 뉴시스
영업일 수 감소와 국내 경기 악화로 1분기 대형마트 업황이 우호적이지 않았던 가운데, 관세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워 시장에서는 실적 개선 기대감이 유효하다고 풀이했다. / 뉴시스

시사위크=연미선 기자  지난 한 해 대형마트 업체들은 불황을 버텨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올해 유통업 전망이 지난해보다도 더 어두운 가운데, 1분기 실적과 관련해선 긍정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어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린다.

◇ 1분기 전망 ‘양호’… “관세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워”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마트는 연결기준 순매출액 29조209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전년 대비 1.5% 감소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940억원 개선돼 471억원으로 흑자 전환됐다. 별도 기준 순매출액은 2.5% 증가한 15조5,696억원이다. 영업이익은 35%가량 줄어 1,218억원을 기록했다.

롯데쇼핑 IR보고서에 따르면 그로서리 사업(롯데마트‧슈퍼) 부문은 매출액 5조3,756억원으로 전년 대비 3.8% 감소했다. 영업이익도 36.2% 줄어 465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대형마트 업체들이 수익성이 크게 악화한 데엔 대법원의 통상임금 판결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이런 가운데 시장에선 이들 업체가 양호한 1분기 실적을 거둘 것이라고 내다봤다. IBK투자증권은 기업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마트 실적은 높아진 기대치를 충족할 것”이라면서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조4,151억원, 영업이익 1,432억원을 전망한다”고 분석했다. 이는 각각 전년 대비 29%, 204.0% 증가한 수준이다.

남성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영업일수 감소와 국내 경기 악화로 집객력 회복이 쉽지 않아 1분기 업황은 우호적이지 않았다”면서도 “그럼에도 구조적인 체질 개선 작업 효과로 영업실적은 큰 폭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롯데쇼핑의 매출액은 4조8,908억원(1.3%↓), 영업이익은 1,358억원(18.3%↑)이 예상됐다. 다만 마트‧슈퍼 부문은 1조7,861억원(1.4%↓), 영업이익은 391억원(30.1%↓)으로 전망됐다. LS증권은 “1분기 제타 앱 출시 관련 비용 등이 이커머스 사업부에서 할인점으로 이관됨에 따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면서 “다만 관세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내수 업종에 대한 기대감이 유효하다”고 분석했다.

소비 부진이 장기화할 것이란 전망이 계속되면서 대형마트 업계의 올해 전반적인 전망은 부정적이다. / 뉴시스
소비 부진이 장기화할 것이란 전망이 계속되면서 대형마트 업계의 올해 전반적인 전망은 부정적이다. / 뉴시스

◇ 대형마트 경기전망지수 ‘85→73’… 중장기 전망은?

시장에서는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돌입으로 경쟁사의 반사이익 수혜 가능성이 높다고 관측했다. 앞선 2월 신용평가사들이 현금 창출력 대비 과중한 재무 부담이 존재하는 점 등을 근거로 신용등급을 하향한 가운데, 다음 달 4일 홈플러스는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티메프 사태에 따른 미정산 우려로 제휴처는 홈플러스 상품권 중단, 납품업체는 제품 출하 정지 조처하기도 했다.

남성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중장기적으로 (홈플러스의) 시장지배력이 낮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현재 사업구조를 놓고 보면 기존 사업장을 유지하는 투자만 이뤄지고 있어 차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하며, 홈플러스익스프레스 매각도 원활하지 않아 재무적 부담 완화가 쉽지 않아 보인다”면서 “홈플러스의 경쟁력이 구조적으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다만 소비 부진이 장기화할 것이란 전망이 계속되면서 대형마트 업계의 올해 전망은 그다지 밝지 않다.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 조사 결과, 전망치가 75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1분기(77)보다 2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4분기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며 유통기업들의 체감경기가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대형마트는 85에서 73으로 직전 분기와 비교해 큰 폭으로 하락해 이목이 쏠렸다. 대한상의는 “신선식품을 둘러싸고 온라인쇼핑뿐만 아니라 슈퍼마켓과의 경쟁 심화가 부정적으로 작용했다”면서 “여기에 특정 대형마트의 경영 위기도 대형마트 업태 전체의 체감경기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체감경기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는 특히 누적된 고물가가 지목됐다. 대한상의 조사 결과, 유통기업들은 올해 경영 실적에 영향을 미칠 주요 요인으로 고물가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64.0%)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외에도 △국내 정치 불확실성(39.2%) △운영비용 부담 증가(36.8%) △미국 통상정책(16.8%) 등의 응답이 나타났다.

소비시장 회복 시점에 대한 전망도 어둡게 나타났다. 응답 기업 절반 가까이(49.8%)는 2026년 이후에나 소비시장이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2028년 이후를 전망한 기업도 16.0%에 달했다. 소비심리가 위축될수록 유통업 경쟁은 나날이 심화하고 있는 가운데, 대형마트가 올해 안정적인 성적을 거둘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근거자료 및 출처
롯데쇼핑 1Q25 Preview
2025. 04. 15. LS증권
이마트 1Q25 Preview
2025. 04. 11. IBK투자증권
대형마트 산업분석 보고서
2025. 03. 04. IBK투자증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