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민 조국혁신당 대표 권한대행 등 지도부가 5일 국회에서 당내 성비위 및 직장 내 괴롭힘 사건과 관련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 뉴시스
김선민 조국혁신당 대표 권한대행 등 지도부가 5일 국회에서 당내 성비위 및 직장 내 괴롭힘 사건과 관련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 뉴시스

시사위크=전두성 기자  조국혁신당(혁신당)이 당내 성 비위 사건에 대해 고개를 숙였다. 피해자 중심의 사건처리에 대해서도 노력이 부족했던 점을 인정했다. 이와 함께 당은 향후 재발 방지 대책 마련도 약속했다.

5일 김선민 당 대표 권한대행을 비롯한 당 지도부는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당내 성 비위 사건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김 대행은 “강미정 대변인을 포함한 피해자 여러분께 위로의 말씀 드린다”며 “이 사건으로 마음 다치셨을 국민과 당원 여러분께도 깊은 사과의 말씀을 다시 한번 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피해자 중심의 사건처리를 강조하고 소상히 밝히려고 했지만, 노력이 부족했던 것 같다”며 “다시는 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근본적인 쇄신을 강도 높게 추진해 가겠다”고 강조했다.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도 페이스북에 “이러한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며 “저도 미진한 점이 없는지 살피겠다”고 적었다.

혁신당의 성 비위 사건은 강미정 대변인이 전날(4일) 탈당을 선언하며 본격적으로 공론화됐다. 강 대변인은 탈당 기자회견에서 “제가 마주한 것은 동지라고 믿었던 이들의 성희롱과 성추행, 괴롭힘이었다”며 “당은 피해자들의 절규를 외면했다”고 밝혔다.

2차 가해도 있었다고 한다. 강 대변인에 따르면, ‘너 하나 때문에 10명이 힘들다’, ‘우리가 왜 네 눈치를 봐야 하냐’는 말이 나왔고 당무위원과 고위 당직자들 일부는 SNS를 통해 피해자와 조력자를 향해 ‘당을 흔드는 것들’, ‘배은망덕한 것들’이라며 조롱했다고 한다.

조국혁신당의 성 비위 사건에 대해 일각에선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의 책임론 주장이 나오지만, 당은 조 원장 책임론에 선을 그었다. 사진은 조 원장과 김선민 당 대표 권한대행이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총무원장 진우스님을 예방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조국혁신당의 성 비위 사건에 대해 일각에선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의 책임론 주장이 나오지만, 당은 조 원장 책임론에 선을 그었다. 사진은 조 원장과 김선민 당 대표 권한대행이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총무원장 진우스님을 예방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당이 공식 사과하고 재발 방지책 마련을 약속하며 수습에 나서고 있지만, 파장의 불씨는 쉽게 꺼지지 않고 있다. 이번 사건을 통해 조 원장에 대한 ‘책임론’과 태도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함께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피해자 대리인을 맡았던 강미숙 여성위원회 고문은 “조국혁신당은 좋든 싫든 조국의 당”이라며 사실상 조 원장의 책임론을 언급했다. 

그는 이날 페이스북에 “조국 전 대표도 그렇고 많은 분이 ‘감옥에 있는 조국은 당적이 박탈된 비당원인데 무엇을 할 수 있었겠냐’, ‘출소 후에도 혁신정책연구원장일 뿐인데 무슨 권한이 있다는 것이냐’고 묻는다”며 “당원·권한 여부를 말하는 것은 형식논리다. 그렇다면 당원도 아닌 사람이 주요당직자들의 의전을 받으며 현충원에 참배하는 등의 일정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겠는가”라고 되물었다.

더불어민주당 내에서도 조 원장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조 전 대표는 옥중에서 보고받았다는데, 사면·복권으로 나와서도 모르쇠로 일관하다 뒤늦게 ‘후회’한다는 메시지를 SNS에 올렸다”며 “사과는 피해자에게 직접 하는 게 맞고, 사과의 수용이나 용서는 강요할 수 없지 않은가. 대중의 눈치만 살피면서 SNS 정치로 일관하는 조 전 대표의 태도가 심히 유감스럽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혁신당은 조 원장에 대한 책임론엔 선을 그었다. 김 대행은 “사건 접수 시점 (조 원장은) 영어의 몸이었다. 당시 조사·징계 절차 책임이 있는 것은 저였다”며 “(조 원장이) 사건을 접한 것은 (수감 중) 아마 많은 분의 서신인 것으로 안다. 당원도 아니었기 때문에 당무를 논의한 게 없다. 당헌·당규에 따라 당이 결정한 것을 조 원장과 연관 짓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이러한 혁신당의 반박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혁신당의 해명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다는 것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통화에서 “논리로 보면 혁신당의 말이 맞을 수 있다”면서도 “혁신당은 조 원장이 탈당하나 탈당하지 않으나 정당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은 조 원장이 한다고 국민은 보고 있다. 그런 국민 눈높이에서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국혁신당의 성 비위 사건 파장은 최강욱 더불어민주당 교육연수원장의 ‘2차 가해’ 발언이 알려지면서 민주당까지 불통이 튀었다. 사진은 최 원장이 지난달 22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조국혁신당의 성 비위 사건 파장은 최강욱 더불어민주당 교육연수원장의 ‘2차 가해’ 발언이 알려지면서 민주당까지 불통이 튀었다. 사진은 최 원장이 지난달 22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 민주당에도 ‘불똥’

혁신당의 성 비위 사건 파장은 민주당까지 불똥이 튀었다. 최강욱 민주당 교육연수원장의 성 비위 사건에 대한 ‘2차 가해’ 발언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 원장은 지난달 31일 혁신당 대전·세종 정치아카데미 강연 중 “(성 비위 사건) 그걸 정확하게 사실관계를 아는 분이 몇 분이나 되나”라며 “당사자 아니면 모르는 거 아닌가. 남 얘기 다 주워듣고서 지금 떠드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그냥 내가 보기에 나는 누구 누구 누구가 좋은데 저 얘기하니까 저 말이 맞는 것 같아 이건 아니다. 그건 개돼지의 생각”이라고 발언하거나, “조국을 감옥에다 넣어놓고 그 사소한 문제로 치고받고 싸운다”, “한 발짝 떨어져 보는 사람으로서 그렇게 죽고 살 일인가”라고 말하기도 했다.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라는 논란이 커지자, 최 원장은 전날 페이스북에 “당시 현장에서 신중하고 정제된 답변을 하지 못한 것도 분명하다”며 “피해자를 대상으로 ‘2차 가해’를 한 것일 수 있다는 지적을 겸허하게 받아 들인다”고 적었다.

민주당도 수습에 나섰다. 정청래 대표는 즉시 최 원장에 대한 윤리감찰단 긴급 진상조사를 지시했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이날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정 대표가 이 문제에 대해 보고를 받은 즉시 윤리감찰단 진상조사를 지시했고, 박균택 윤리감찰단장이 (최 원장) 당사자에게 즉시 경위서 제출을 요구했다”며 “당은 이 문제를 엄중히 보고 가능한 한 최선의 조치를 하도록 진행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최 원장 발언에 대해 “2차 가해는 물론이고 조국혁신당 성 비위 사건에 분노하는 국민을 광역 저격했다”며 “발언 내용도 용인하기 어렵거니와, 민주당 교육연수원장이 왜 다른 당에서 물의를 일으켜 우리를 난감한 상황으로 끌어들이는 건지”라고 꼬집었다. 이어 당의 신속한 조치를 촉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