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배 현대로템 사장은 당초 14일로 예정돼있던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 증인 출석은 철회됐으나 국토교통위원회 국감엔 오는 29일 증인으로 출석할 전망이다. / 뉴시스
이용배 현대로템 사장은 당초 14일로 예정돼있던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 증인 출석은 철회됐으나 국토교통위원회 국감엔 오는 29일 증인으로 출석할 전망이다. / 뉴시스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국회 국정감사가 막을 올리면서 여의도로 시선이 쏠리고 있다. 특히 올해도 어김없이 각종 문제를 일으킨 기업의 경영인들이 대거 국감 호출을 받고, 또 증인 신청이 철회되기도 하면서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모습이다. 이런 가운데, 뚜렷한 성과와 함께 ‘장수 CEO’로 자리매김해온 이용배 현대로템 사장의 행보도 주목을 끌 것으로 보인다.

이용배 사장은 당초 올해 국감에 두 번 등장할 예정이었다.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하 산중위)와 국토교통위원회(이하 국토위) 두 곳에서 증인으로 채택됐기 때문이다. 산중위로부터는 기술탈취 논란과 관련해 14일, 국토위로부터는 입찰담합 논란과 관련해 오는 21일 증인 출석을 요구받았다.

이 중 산중위에서는 증인 채택 명단에서 철회됐다. 이는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차원의 ‘기업인 증인 최소화’ 방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이번 국감을 앞두고 앞서 꾸준히 논란을 일으켜왔던 기업인 증인 채택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바 있다. 국감 직전인 지난 10일엔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간담회를 통해 △재계 증인 최소화 △중복출석 최대한 지양 △지정 시간 집중 질의 등 3대 원칙을 발표했고, 국감이 시작된 지난 13일 최고위원회의에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국감에서 기업인 증인 채택을 최소화하겠다”고 재차 밝혔다. 이후 각 상임위에선 여당 측에서 신청한 건을 중심으로 기업인 증인 철회가 이어졌다.

다만, 국토위 증인 명단엔 아직 이용배 사장의 이름이 남아있다. 출석 날짜만 오는 21일에서 29일로 미뤄졌다.

국토위 국감에서는 현대로템의 입찰담합을 둘러싼 사안들이 다뤄질 전망이다. 현대로템은 2019년 경쟁사들과 담합해 철도차량 수주를 나눠가졌는데, 2022년 이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자진신고하면서 300억원대에 달하는 과징금을 홀로 면제받았다. 하지만 이를 두고 담합을 주도한 측이 오히려 제도를 악용해 제재를 피하고 경쟁사들에게 타격을 입혔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뿐만 아니다. 현대로템이 정치권의 화두로 떠올랐던 명태균 씨에게 로비를 했다는 의혹에 휩싸여있다는 점도 국감 증인 출석을 더욱 예사롭지 않게 한다.

현대로템은 윤석열 정부 시절인 2022년과 2023년 각각 7,100억원, 1조860억원 규모의 KTX·SRT 차량 제작·정비 사업을 연이어 수주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현대로템 측이 명태균 씨에게 청탁을 벌인 정황이 담긴 메시지 등이 언론보도를 통해 알려져 파문을 일으켰다. 특히 이용배 사장은 명태균 씨 등과 고급 중식당에서 식사를 하고, 수주에 성공한 뒤에는 명태균 씨를 ‘존경하는 명 본부장님’이라 칭하며 감사 인사를 건넨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한 의혹은 단순한 청탁을 넘어 전 정권 차원의 문제와 직결되는 사안이다. 따라서 국감에서 이와 관련된 질의나 질타, 언급 등이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용배 사장의 최종적인 국감 출석 여부와 국감에서 어떤 구체적 내용이 다뤄지게 될지 등에 이목이 집중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