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전두성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25일 내년도 예산안 심사에 대해 일정에 맞춰 처리하겠다고 공언했다. 예산안 국회 본회의 법정 처리 시한인 내달 2일 처리를 목표로 심사를 진행하겠다는 것이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2026년도 예산안 심사가 끝을 향해 가고 있다”며 “예산안은 국민의 삶과 미래를 책임지는 국가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꼭 필요한 민생·미래·통상 대응, AI(인공지능) 예산까지 무분별하고 무책임한 감액 주장이 이어지고 있다”며 “지역 경제를 살리는 예산, 소상공인과 청년을 돕는 예산, 미래 산업 기반을 만드는 예산은 절대로 후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는 국민의힘이 △지역사랑상품권 △대미투자 대응 △AI 관련 예산 등에 대해 감액을 주장하는 것을 겨냥한 것이다.
김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집권 여당으로서 이 예산들이 제자리를 찾도록 끝까지 책임 있게 챙기겠다”며 “법정 기한 준수는 국회의 책무다. 예결위 의결은 28일, 본회의 처리는 12월 2일을 목표로 흔들림 없이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국민의힘이 일부 예산안에 대해 삭감을 주장하는 것을 두고 ‘묻지마 삭감’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예산안 심사에서) 우려스러운 것은 국민의힘이 국민께 꼭 필요한 민생 예산까지 ‘묻지마 삭감’ 의견을 내고 있는 것”이라며 “AI, 국민성장 펀드, 지역화폐 등 민생 회복·경제 성장 예산 삭감뿐 아니라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경영 안정을 지원하는 예산 전액 삭감, 청년 창작자 지원 예산 전액 삭감, 심지어 대미 관세 협상에 따른 관련 예산에 대해서까지도 협조하지 않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한 의장은 “내년도 AI 예산은 AI 3대 강국으로 가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거의 모든 나라가 AI 주권에 매달리고 있다. 그런데 왜 묻지마 삭감인가. 대한민국의 미래가 달린 예산”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을 향해 “국민을 위한 예산 심사가 돼야 한다. 전향적인 협조를 요청한다”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