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서예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1일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국가가 살아남는 길은 오로지 뛰어난 과학기술 인재들을 많이 길러내는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경북 구미 금오공과대학교에서 ‘지역을 살리는 인재, 인재로 성장하는 대한민국’ 슬로건 하에 ‘제1차 인재양성전략회의’를 열었다.
이 회의는 인재양성정책이 부처별·개별적으로 수행되던 한계를 극복하고 국가적 관점에서 범부처 협업을 통해 종합적·체계적인 인재양성정책을 수립·추진하기 위해 개최됐다. 대통령이 의장을 맡았다. 향후 환경·에너지, 우주·항공 등 핵심 첨단분야 인재양성 방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할 방침이다.
윤 대통령은 “나라를 살리는 지역 균형발전의 핵심은 교육에 있고, 국가발전의 동력은 과학기술이고, 인재양성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금오공대는 국가 미래에 대한 탁월한 통찰력을 가진 박정희 대통령께서 1975년 설립을 추진하고 돌아가시기 한 달 전에 최종 재가를 한, 박정희 대통령의 얼과 숨결이 살아있는 곳”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경제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결국 사람에 투자하고 사람이 만들었기 때문”이라며 "4차 산업혁명 시대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과학기술 인재 양성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지식습득형, 암기형이 아니라 현장에서 문제를 찾아내는, 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적인 인재를 많이 길러내는 것에 국가의 미래가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며 “기술선도국가인 미국은 초격차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AI, 첨단 소재, 바이오, 퀀텀 사이언스 등 10대 전략기술 분야를 선정해서 국가가 집중 투자를 해 민간 투자를 선도해내고 있다”고 거론했다.
그러면서 “인재양성 핵심 분야를 설정해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교육도 시대변화에 맞게 바꿔나가야 한다”며 “산업계 우수 인력이 학교에서 현장의 생생한 지식을 전하도록 하고, 또 우수한 교원이 기업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산학이 함께 연계되는 환경을 잘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교육은 나라를 살리는 지역 균형 발전의 핵심이다. 특히 지역대학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외국 주요 도시들도 IT, 바이오, 디자인, 첨단산업 등을 집중 육성해 지역소멸위기를 극복하고 활력을 되찾은 사례가 많이 있다. 지역대학, 지역 산업체, 지방정부가 서로 머리를 맞대서 지역의 강점, 비교우위와 성장동력을 찾아내서 힘을 모을 때 진정한 지방시대를 열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과학기술 없는 지방시대라고 하는 것은 공허한 얘기”라며 “중앙정부도 대학 지원 예산과 권한을 지자체에 이양해서 지역이 그 수요와 비교우위에 적합한 인재 양성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회의에서 교육부는 △5대 핵심 분야 인재양성 체계 구축 △지역주도 인재양성 기반 조성 △교육·연구·훈련의 개방성·유연성 제고 등 3대 전략을 담은 ‘첨단분야 인재양성 전략 방안’을 보고했다.
또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지방인재 양성과 정주 체계 구축을 통한 국가균형발전 실현방안’을 제안했다. 이후 정부와 민간 전문가가 △첨단산업 성장을 견인하기 위한 미래 인재 양성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지역 중심 인재 양성 등에 대해 토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