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전두성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24일 ‘공천 개입 의혹’ 등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논란이 연일 제기되는 것과 관련해 해결책은 윤석열 대통령이 ‘김건희 특검법’을 수용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이 또다시 거부권(재의요구권)이라는 칼을 휘두른다면 그 칼에 대통령 자신도 베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김 여사는 전생의 양파였나. 까도 까도 끝없이 나오는 양파 껍질처럼 김 여사를 둘러싼 의혹들이 줄줄이 터져 나오는 것을 꼬집는 네티즌들의 풍자”라며 “김 여사를 둘러싼 의혹들이 끝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체코 언론은 자국을 방문한 한국 대통령 부인의 주가 조작과 탈세, 논문 표절 의혹을 다루면서 김 여사를 사기꾼에 비유하기까지 했다”며 “나라 망신도 이런 망신이 없다. 매번 순방 때마다 이런 일이 벌어지다 보니 부끄러워하는 것도 지친다”고 꼬집었다.
박 원내대표는 “어제(23일)는 김 여사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공범인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와 검찰 수사가 본격화되던 2020년 9월부터 10월 사이 40여 차례나 연락을 주고받은 사실이 드러났다”며 “김 여사의 공천 개입 의혹을 둘러싼 폭로도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어젯밤엔 지난 총선 당시 경기도 용인시갑에 국민의힘 후보로 출마한 전직 대통령실 비서관 김대남 씨의 통화 내역도 공개됐다”며 “김대남 씨는 김 여사가 이원모 전 (대통령실) 비서관 공천을 위해 당시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이었던 이철규 의원을 수족으로 삼아 공천에 개입하고 있다고 주장했다”고 설명했다.
또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의 컷오프 사실을 김 여사가 전화해서 알려줬다고 말하는 명태균 씨와의 통화 내용도 공개됐다”며 “김 전 의원이 명태균 씨에게 2022년 보궐선거 당시, 당선 직후 6,300만원을 건넸다는 보도도 나왔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미 이 사건이 선관위 고발로 검찰 손에 들어간 지 몇 달이 지났지만, 검찰은 지금까지도 수사 결과를 내놓고 있지 않다”며 “윤석열 정부 들어 김 여사와 관련된 사건을 검찰이 제대로 수사한 사례가 단 1건도 없으니 ‘김건희가 성역이냐’는 비판이 나오는 것이고, 검찰 수사에 대한 불만과 불신만 높아지고 있다”고 했다.
아울러 박 원내대표는 “도대체 김건희 게이트의 끝은 어디인가”라며 “선출되지 않은 권력의 무법 행위가 대한민국의 헌정질서를 어지럽히고 공정과 상식을 송두리째 파괴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해결책은 명약관화하다. 윤 대통령이 김건희 특검법을 즉각 수용하면 된다”며 “특검을 자처한 것은 검찰과 대통령, 그리고 김 여사 본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윤 대통령이 민심을 무시하고 또다시 거부권이라는 칼을 휘두른다면 그 칼에 대통령 자신도 베일 것이라는 점을 엄중 경고한다”며 “특검을 거부하는 자가 범인이고 죄를 지었으니 특검을 거부하는 것이라는 말을 온 국민이 똑똑히 기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이철규, 여사 공천 개입 ‘허구’ 강조한 까닭
- 대통령실, ‘원전 세일즈’ 성과 띄우기에 안간힘
- 김근식, 김 여사 ‘오지랖 문자’로 공천 개입 의혹 대두
- 김 여사 ‘공천 개입 의혹’ 보도 일파만파… 관계자들의 엇갈린 증언
- 국민의힘 ‘이재명’ vs 민주당 ‘김건희’… ‘사법리스크’ 겨눈 여야
- 민주당, 정부‧여당에 거부권 행사 경고한 까닭
- 다시 국회 통과한 ‘쌍특검법’… 여야, 또 ‘극한 대치’
- 민주당, 체코 원전 수주 ‘철저 검증’ 예고… “국감서 ‘경제성’ 점검”
- 검찰수심위, 최재영 목사 기소 권고… ‘김건희 여사 명품백 사건’ 새 국면?
- 민주당, 수심위 ‘최재영 기소 권고’ 계기로 검찰 압박… “김건희 여사 기소”
- [단독] 명태균 “미래한국연구소에서 자문 역할, 월 250만원 받았다”
- 김재원, ‘김여사 사과’ 오히려 논란 증폭시킬 ‘촉매’
- 민주당, ‘김건희 여사 의혹’ 총공세… “국정농단 TF 구성”
- 우원식 의장, ‘김건희 특검법’ 수용 촉구… “의혹 털고 가는 게 맞다”
- 국민의힘, ‘한동훈 공격 사주’ 김대남 진상조사 착수
- 윤석열 대통령, 김건희·채상병 특검법 및 지역화폐법 거부권 행사
- 추경호, 세번째 ‘김건희 특검법’ 발의 비판한 이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