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이영실 기자 11월 극장가는 ‘위키드’ ‘모아나 2’ 등 외화가 강세를 보였으나 한국 영화는 부진을 이어갔다. 전체 매출액과 관객 수도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다.
17일 영화진흥위원회가 공개한 ‘2024년 11월 한국 영화산업 결산 발표’ 자료에 따르면, 11월 전체 매출액은 662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9.5%(70억원) 줄었다. 전체 관객 수도 700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5%(65만명) 감소했다. ‘위키드’(11월 20일 개봉), ‘모아나 2’(11월 27일 개봉) 등 할리우드 가족영화의 강세가 나타났지만 11월 전체 매출액과 관객 수가 전년 대비 저조했다.
‘위키드’와 ‘모아나 2’는 11월 전체 흥행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위키드’는 11월 한 달간 매출액 106억원, 관객 수 107만명을 기록했고, ‘모아나 2’는 매출액 84억원과 관객 수 93만명을 달성했다.
두 영화의 흥행 덕에 11월 외국 영화 매출액은 416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9.8%(96억원) 증가했고 외국 영화 관객 수도 31.1%(103만명) 증가한 436만명이었다. ‘위키드’ ‘모아나2’ 외에도 ‘글래디에이터2’ ‘베놈: 라스트 댄스’가 11월 전체 흥행 3~4위에 오르며 11월 극장 흥행을 견인했다. 11월 외국 영화의 매출액과 관객 수는 전년 동월뿐 아니라 지난 10월에 비해서도 약 30%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한국 영화는 ‘청설’(11월 6일 개봉)과 ‘히든페이스’(11월 20일 개봉)가 11월 전체 흥행 5~6위에 자리했다. 동명의 대만 영화를 리메이크한 청춘 로맨스 ‘청설’은 매출액 71억원(관객 수 76만명)을 올리며 한국 영화 중 11월 최고 흥행 성적을 기록했고, 동명의 콜롬비아 영화를 리메이크한 스릴러 ‘히든페이스’는 11월 한 달간 매출액 61억원(관객 수 65만명)을 기록했다.
11월 한국 영화 매출액은 246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40.2%(165억원) 감소했다. 관객 수도 263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9.0%(168만명) 줄었다. 매출액 기준 11월 한국 영화 점유율은 37.1%를 기록했는데, 올해 6~7월과 더불어 외국 영화가 매출 및 관객 점유율에서 한국 영화를 앞선 달이 됐다. 개봉 편수 자체는 적지 않았으나 직전월인 10월에 이어 저조한 흥행이 계속됐다.
11월 극장가에서는 새로운 시도의 작품이 한국 영화 흥행 상위 10위에 오르는 등 이례적인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11월 초 개봉한 ‘4분 44초’는 러닝타임 44분의 중편 영화로, 티켓 가격을 4,000원으로 낮추는 전략과 함께 11월 한 달간 1억8,702만원의 매출액과 관객 수 4만6,761명을 기록했다.
영화진흥위원회 측은 “지난 6월 개봉된 ‘밤낚시’ 역시 약 13분의 러닝타임을 가진 단편 영화로서 관람료가 1,000원이었다”며 “이렇게 상영 시간을 줄이고 티켓 가격을 낮춘 숏폼 영화라는 새로운 시도가 계속되며 영화의 범위가 점차 다변화되고 있고 관객의 반응 또한 긍정적이어서 시장의 검증을 받고 있다는 평”이라고 밝혔다.
11월 독립·예술영화 흥행 1위는 미국 오컬트 공포 영화 ‘롱 레그스’로 매출액 3억37만원, 관객 수 3만1357명을 기록했다. 한국 영화는 ‘아메바 소녀들과 학교괴담: 개교기념일’이 매출액 2억4,094만원(관객 수 2만8,097명)으로 독립·예술영화 흥행 3위에 오른 것이 최고 성적이었다. 11월 독립·예술영화 흥행 2위는 재개봉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일본 영화 ‘괴물’이었다.
| 11월 한국 영화산업 결산 발표 | |
|---|---|
| 2024.12.17 | 영화진흥위원회 |
| 관객수 및 매출액(월별) | |
|---|---|
| 2024.12.17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