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전두성 기자 친명계(친이재명계) 좌장으로 불리는 정성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6일 당 지도부를 향해 쓴소리를 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민생·경제 대책들을 더 강하게 내놔야 했는데 그렇지 못했다는 것이다.
정 의원은 이날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민생·경제가 굉장히 어렵다. 국정이 굉장히 혼란스럽다”며 “이런 상황에서 탄핵을 주도했던 정당이 민주당 아니겠는가. 탄핵을 주도했기 때문에 국정 혼란을 수습할 책임이 민주당에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이) 국회 다수당인데, 그런 면에서 책임 있는 모습을 보이는 데 부족함이 있지 않았나 (생각한다)”며 “과연 윤 대통령이 탄핵되고 하는 이런 상황에서 민주당은 뭐 하고 있냐”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어떤 점이 부족했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당 지도부나 이런 면에서 민생·경제 안정 대책들을 더 강하게 내놨어야 된다는 아쉬움도 좀 있다”며 “가장 중요한 게 대통령 탄핵인데, 그 이후에 어쨌든 권한대행 체제지만 권한대행과 협조하고 협력할 것은 적극적으로 해야 하지 않겠는가. 그런 면에서 너무 비판이 앞서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든다”고 했다.
아울러 정 의원은 내란 특검법(비상계엄 특검법)에 대해 여야가 최대한 합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특검법도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하면서 ‘여야 합의되지 않았다, 위헌의 소지가 있다’는 얘기를 했었다”며 “우리가 (내란 특검법을) 일방 통과하면 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굉장히 높지 않은가. 저는 지금 정부·여당에 그런 빌미를 주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언급했다.
이어 “가능한 한 합의해서 여당이 주장하는 위헌 소지를 완전히 없애는 게 훨씬 편안한 길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법안을 국회가 통과시키고 거부권 행사하고, 재의결해서 다시 부결되고 이런 과정은 국민이 보기에도 답답하고 짜증 나는 거 아니겠는가”라며 “당 일각에선 ‘거부권 행사해도 재의결될 수 있지 않겠냐. 여당의 이탈표가 늘어나지 않겠냐’는 생각을 하시는 분도 계신데 저는 그래서는 안 된다고 본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분명히 우리가 표를 확보했다면 모르지만, 가능한 한 어떤 다툼의 소지를 적게 해서 통과시켜서 특검을 빨리 발족시키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민주당, ‘최상목 탄핵’ 숨고르기 '왜?'
- 민주당, ‘최상목 책임론’ 부각한 까닭
- 국민의힘 지지율 ‘왜’ 오를까
- ‘국민의힘 극우 밀착화’에 내심 미소짓는 민주당
- 윤석열, 수사 비협조 ‘여론전’ 포석?
- 내란 vs 계엄… 여야, 17일 ‘특검법’ 담판
- 법원, 윤석열 측 체포적부심 기각… 공수처, ‘구속영장 청구’ 무게
- 이재명, 한미동맹·안보 강조… “역할·책임 강화하겠다”
- “국민의힘, 국민 배신말고 협의 임하라”… 민주당, ‘특검 압박’ 강화
- 지지율 하락에 위기의식 고조된 민주당
- ‘민주당 괜찮나’·‘우린 저들과 다르게 가자’… 민주당, ‘쓴소리’ 분출
- [기자수첩] 민주당의 ‘변화’ 쉽지 않은 이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