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우 대표 “중국 시장 변화, 신작도 가능성 있어”

11일 한상우 카카오게임즈 대표는 2024년 실적발표에서 “올해부터 적극적으로 중국시장에 도전하겠다”고 밝혔다. / 카카오게임즈
11일 한상우 카카오게임즈 대표는 2024년 실적발표에서 “올해부터 적극적으로 중국시장에 도전하겠다”고 밝혔다. / 카카오게임즈

시사위크=조윤찬 기자  카카오게임즈가 중국 시장 공략에 나선다. 카카오게임즈는 중국 규제 상황이 변화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11일 한상우 카카오게임즈 대표는 2024년 실적발표에서 “올해부터 적극적으로 중국시장에 도전하겠다”고 밝혔다.

한 대표는 중국 게임사 텐센트 출신으로 중국 시장 경험이 풍부하다. 지난해 12월 카카오게임즈 손자회사 님블뉴런이 개발하고 서비스하는 ‘이터널 리턴’이 중국 외자판호(서비스 허가권)를 발급받았다.

그라비티는 지난해 ‘라그나로크 여명’, 지난달 ‘라그나로크:초심’ 등 미출시 게임에 대해 외자 판호를 발급 받았다. 그동안 중국은 게임의 최초 출시일과 판호 발급 사이 기간이 길었다.

한 대표는 “중국의 규제 기준이 변화되고 있다”며 “내부에서 준비하고 있는 신작들도 가능성이 열리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카카오게임즈는 중국 판권 논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표는 “아직 공개하기 어렵지만 조만간 순차적으로 중국 시장에서 어떤 타이틀들이 출시될지 말씀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PC·콘솔 기대 신작으로는 △2분기 액션 로그라이트 슈터 ‘섹션13’ △4분기 액션 RPG ‘크로노 오디세이’ △내년 1분기 액션 RPG ‘아키에이지 크로니클’ 등이 있다.

한 대표는 게임 최초 공개부터 출시까지 1년 정도 기간 안에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올해 상반기 ‘크로노 오디세이’, 하반기 ‘아키에이지 크로니클’의 테스트가 진행될 예정이다.

카카오게임즈는 연결기준 지난해 매출 7,388억원, 영업이익 65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4%, 92% 감소했다. 특히 모바일 게임 매출은 지난해 5,316억원으로 전년 대비 20% 감소했다.

지난해 12월 7일 출시된 ‘패스 오브 엑자일2’(POE2)는 글로벌 흥행했지만 4분기 실적에 반영되지 않았다. ‘POE2’ 실적은 회계상 이연반영으로 올해 1분기부터 반영된다. 카카오게임즈 관계자는 “PC 패키지에 포함된 아이템은 매출을 몇 개월에 걸쳐서 인식한다”며 이연반영된 이유를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