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에스엠티엔티 우선 도입
시사위크=조윤찬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디지털 민생 안전을 위해 스미싱 등 악성문자를 발송단계에서부터 차단할 수 있는 ‘X-ray 서비스’를 오는 9일 오전 9시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8일 밝혔다.
X-ray는 스미싱 문자를 발송단계에서 탐지해 발송 자체를 원천 차단함으로써 국민들이 악성문자를 수신함으로써 겪을 수 있는 불편과 재산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문자발송 이용자가 문자중계사·재판매사에 문자발송을 요청하면, 문자중계사·재판매사는 KISA에 스미싱 여부를 확인 요청하게 된다. KISA가 스미싱 여부를 회신한 이후 문자중계사·재판매사가 문자 발송을 승인하는 구조다.
현재까지는 국민이 KISA에 악성문자를 신고하면, KISA는 악성 여부를 판단하해 국민들이 악성코드를 다운로드받거나 사기 사이트를 접속하지 않도록 안내하고, 발신번호와 인터넷주소(URL)를 차단하는 등의 대응체계를 운영했다.
그러나 일부 국민들은 실수로 악성문자를 클릭해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재산적 피해를 본 사례가 발생하는 등 효과적인 대응에 한계가 있었다.
KISA는 ‘스미싱 확인서비스’ 운영으로 축적된 경험을 기반으로 X-ray 서비스를 개발했다. X-ray는 문자판매사 에스엠티엔티에 우선 도입된다.
최우혁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디지털 범죄에 대응하는 좋은 선례를 만들겠다”며 “국민들이 스미싱 등 악성문자로 인한 불안을 해소할 수 있도록 악성문자 차단 서비스(X-ray)의 확산을 지속 추진하고, 디지털 민생 안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