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이민지 기자 지난해 개인회생을 신청한 만 29세 이하 청년 중 70%는 ‘생활비 마련’을 위해 최초 채무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28일 서울시복지재단 내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는 지난해 개인회생을 신청한 만 29세 청년 중 ‘청년재무길잡이’를 이수한 1,37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개인회생 청년의 총 채무액은 4,000만원~6,000만원 미만이 31%로 가장 많았다. △6,000만원~8,000만원 미만(22%) △4,000만원 미만(19%) △1억원 이상(15%) △8,000만원~1억원 미만(13%) 순으로 뒤를 이었다.
최초 채무 발생 원인으로는 ‘생활비 마련’이 70%로 1순위를 달성했다. 다음으로 △주거비(29%) △과소비(27%) △가족 지원(17%) △사기 피해(15%) 순으로 나타났다.
또 응답자의 84%가 ‘부채 돌려막기’를 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신청자 대부분이 돌려막기 과정에서 높은 이자를 부담하게 되고, 일부는 소득 공백까지 맞물려 회생 신청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 상환 불능 상태로 채무가 증가한 이유(중복 응답)로는 △다른 부채 변제(65%) △높은 이자로 인한 채무 증가(38%) △실직‧이직 등 소득 공백(31%) 등이 주요 원인이라고 답했다.
개인회생 신청을 위한 ‘법률대리인 선임 비용’은 1인당 약 251만원으로 조사됐다. 선임 비용 마련은 △본인 자금 (60%) △할부금융 (17%) △가족‧친지로부터 빌림 (11%) 순으로 나타나 부채 해결을 위해 또 다른 부채가 생기는 악순환이 생기는 것으로 확인됐다.
개인회생 신청 청년은 정서적 측면에서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개인회생 신청 청년의 93%는 지난 1년간 ‘정서적 어려움’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 10명 중 3명은 ‘자살 충동’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응답자의 63%가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도움을 청할 사람(장소)가 없다’고 답해 채무로 인한 정신적 어려움 및 사회적 고립 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은정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장은 “개인회생을 진행 중인 청년들은 대부분 가족의 지원이나 안정적인 일자리, 복지 혜택 등 사회적인 안전망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며 “센터는 이러한 청년들이 부채 문제를 해결하고 재기해 건강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금융복지 서비스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에서 진행하고 있는 ‘청년재무길잡이’는 △수입지출 관리 △회생절차 안내‧인가 후 변제 완주 방법 등을 제공, 개인회생 중도 탈락을 예방하고 재도약을 지원하는 제도다. 상담이 종료된 이후, 수료증을 발급받아 서울회생법원에 제출하면 결격사유가 없을 경우 변제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