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범찬희 기자] 중견건설사 요진건설이 곤혹스런 처지에 놓였다. 사업장인 고양시에서 잇따라 잡음이 발생하고 있어서다. 개발이익을 두고 시와 법정 다툼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공사현장 인근에서 지반이 침하되는 사고까지 발생, 과실 의혹을 받고 있다.
◇ 터파기 공사 중 지하수 침출… 갈라지고 무너진 도로
‘마른땅에 날벼락’이다. 멀쩡한 도로가 갈라지고 주저앉았다. 7일 경기도 고양시에 따르면 하루 전날인 6일 오후 1시15분경 일산동구 백석동 중앙로 일대 곳곳에서 땅꺼짐 현상이 발생했다. 인도에서 길이 3m, 폭 10㎝ 크기의 땅 꺼짐 현상이 나타났으며, 차로에도 길이 30m, 폭 5∼10㎝ 크기의 균열이 생겼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다.
땅이 갈라지고 내려앉은 중앙로 일대는 큰 혼잡을 겪어야 했다. 복구 작업이 퇴근 시간을 훌쩍 넘긴 새벽까지 이어지면서 주변 교통이 장시간 통제됐다. 포크레인이 투입돼 갈라진 보도블록과 아스팔트를 걷어내고 새로 까는 공사가 마무리된 7일 새벽 5시30분쯤 돼서야 차량 통제가 해제됐다.
고양시 관계자는 “복구 작업이 끝난 7일 오후까지도 관련부서 직원 대부분이 현장에 나가 지반 침하 현상이 발생한 원인에 대한 정밀조사와 재발 방지를 위한 대응책 마련을 하고 있다”면서 “현재까지로는 요진건설이 맡고 있는 공사현장에서 터파기 공사 중 유출된 지하수에 의해 주변 흙이 유실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 개발이익 두고 시-시공사 10년째 ‘으르렁’
최근 요진건설에서 잡음이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와이시티 개발이익을 두고 건축 허가권자인 고양시와 시공사 요진건설은 10년 가까이 으르렁대면서 견원지간이 됐다.
사연은 199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해 요진건설은 일산 백석역 인근의 토지 11만1013㎡를 사들였다. 경기 북부 지역에 초대형 주상복합아파트를 짓겠다는 복안에서였다.
하지만 사업은 뜻대로 되지 않았다. 건설사의 대규모 개발 사업을 바라보는 주변의 시선은 탐탁치 않았다. 당초 출판물 단지 터에서 거주 시설로 용도변경 허가를 내주려는 시의 결정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흘러나왔다. 특혜 의혹이 불거진 것이다.
난관에 빠진 사업은 2007년이 돼서야 추진력을 얻게 됐다. ‘기부채납’ 방식이라는 묘수가 대안으로 급부상 했다. 요진건설이 전체 면적 가운데 49.2%(약 5만4600㎡)를 시에 기부하고 건축 허가를 받는다는 조건이었다. 기부하는 땅은 ‘토지’(33.9%)와 ‘업무시설’(15.3%)로 나누기로 했다.
고양시와 요진건설은 또 다시 부딪쳤다. 업무시설 규모를 두고 입장이 엇갈렸다. 업무시설의 땅값을 다시 계산하기로 했는데, 양측이 각각 개발 전후의 토지 가격을 적용하면서 큰 차이가 발생했다.
시는 1200억원에 해당하는 ‘2만평’ 규모를 주장한 반면, 요진건설은 526억원에 해당하는 ‘8500평’ 규모를 기부채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합의점을 찾지 못한 시와 건설사간 싸움은 결국 소송전으로 비화됐다. 지난해 5월 고양시는 요진건설을 상대로 소를 제기했다. 고양시 관계자에 따르면 관련 재판은 현재까지 1심이 진행 중이다.
요진건설 관계자는 “지반 균열이 발생한 곳은 보수 공사가 끝나 크게 우려할 만한 사항은 아니다”며 “일부 논란에 불구하고 상업동 임대는 80%가 완료될 정도로 성황을 이루고 있으며, 이곳을 찾아오는 지역 주민들도 많아 요진 와이시티는 고양의 랜드마크로서 입지를 다져가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