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남극=남극특별취재팀 남극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동물은 펭귄이다. 그중에서 ‘아델리펭귄(Adélie penguin)’은 가장 개체수가 많은 종이다. 현재 추정되는 개체수는 약 500만마리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서도 아델리펭귄을 ‘최소 관심(LC)’ 등급으로 분류한다. 사실상 매우 건강하게 개체수가 유지되고 있는 종이라는 의미다. 하지만 최근 아델리펭귄들의 안정적 삶에도 ‘균열’이 일어나고 있다. ‘기후변화’ 때문이다.◇ 기후변화의 가속화, 미래엔 ‘아델리펭귄’을 볼 수 없다최근 연구결과들은 아델리펭귄의 미래
시사위크|남극=남극특별취재팀 ‘남극의 깡패’, ‘악마 펭귄’. 대중들에게 잘 알려진 ‘아델리펭귄(Adélie penguin)’의 별명이다. 귀여운 외모와 달리 아델리펭귄의 행동이 매우 사납다는 인식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이 과장됐다는 말도 있다. 그렇다면 아델리펭귄은 정말로 악마 같은 펭귄일까, 아니면 오해에서 비롯된 것일까.◇ 악명 높은 남극의 ‘그 녀석’사실 외모만 보면 아델리펭귄은 ‘악마’와는 거리가 멀다. 몸길이 약 46~61cm, 몸무게 3.5~4.5kg의 체구는 같은 남극 펭귄 식구들인 ‘젠투펭귄’이나 ‘턱끈펭귄’보다 작
시사위크|남극=남극특별취재팀 펭귄은 남극의 상징이다. 그중에서도 황제펭귄과 함께 대중들에게 가장 친숙한 펭귄은 단연 ‘아델리펭귄(Adélie penguin)’일 것이다. 까만색 등과 날개, 하얀 배는 만화속 펭귄 캐릭터와 거의 똑같다. 하지만 귀여운 외모와 달리 성격 나쁘기로 유명하다. ‘남극의 깡패’라고 불리기도 한다. ◇ 아델리펭귄이 남극대륙이 아니라 ‘킹조지섬’에 나타난 이유“기자님, 빨리 와보세요!”남극세종과학기지 하계연구대 동물모니터링팀의 남현영 서울대 기초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박사)이 소리쳤다. 지난 1월, ‘남극특별보호
시사위크|남극=남극특별취재팀 기후변화가 가속화하고 있다. 지구상에서 가장 추운 남극도 이 영향을 피해가지 못한다. 녹아내리는 빙하, 뜨거워진 날씨는 남극의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특히 킹조지섬의 터줏대감인 ‘턱끈펭귄’들은 기후변화에 더욱 민감히 반응하는 종이다.◇ 예민한 턱끈펭귄, 기후변화에 취약2024년 12월 방문한 킹조지섬 ‘남극특별보호구역(ASPA) No. 171 나레브스키 포인트’의 ‘펭귄마을’. 극한의 추위로 잘 알려진 남극이지만 여름이라 영상 기온으로 쌀쌀한 정도였다. 때문에 펭귄마을은 남극 이끼들이 넓게 퍼져 마치
시사위크|남극=남극특별취재팀 날카로운 눈매와 까칠한 성격은 턱끈펭귄의 주요한 특징이다. 하지만 새끼를 품을 때 만큼은 그 어떤 펭귄들보다 다정하다. 쪽잠을 자며 혹독한 남극의 환경에서 스쿠아, 자이언트패트럴 등 포식자로부터 용감하게 자신의 새끼를 지킨다. 이처럼 사나운 성격 뒤에 숨은 따뜻한 모성애는 턱끈펭귄을 더욱 특별한 존재로 만든다.◇ 모성애 가득한 턱끈펭귄, 잠자는 시간은 ‘4초’2024년 12월 25일, 시사위크 남극특별취재팀은 하계대연구원들과 ‘남극특별보호구역(ASPA) No. 171 나레브스키 포인트’로 향했다. 남극세
시사위크|남극=남극특별취재팀 ‘턱끈펭귄(Chinstrap penguin)’은 ‘남극의 신사’라는 별명이 가장 잘 어울리는 펭귄이다. 검은색 등과 하얀 배, 여기에 목의 검은 줄은 마치 나비넥타이를 맨 신사처럼 보인다. 남극세종과학기지에서 젠투펭귄과 함께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펭귄이다. 동시에 턱끈펭귄은 ‘까칠한’ 매력의 소유자다.◇ 사나운 성격의 턱끈펭귄, 젠투펭귄과는 다른 매력턱끈펭귄은 약 71~76cm 크기의 중형 펭귄종이다. 황제펭귄과 임금펭귄, 젠투펭귄에 이어 4번째로 크다. 머리 꼭대기부터 얼굴의 하얀색 양쪽 뺨을 가로지
시사위크=남극특별취재팀 젠투펭귄은 기후변화 연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서남극 지역의 ‘지표종(Indicator species)’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지표종이란 특정지역의 환경상태를 측정하는 척도가 되는 생물종이다. 예를 들어 젠투펭귄 개체수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한다면 인근 남극 생태계 어딘가에 문제가 생겼음을 의미한다.실제로 전 세계 극지생물학계에서는 젠투펭귄 생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꾸준한 기후변화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이 중 대표적인 것은 2014년 칠레대학교 생태학과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다. 연구팀은 지난 50년간 이뤄
시사위크=남극특별취재팀 젠투펭귄은 사실 남극에서 가장 숫자가 적은 펭귄종 중 하나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따르면 2014년 기준 남극 내 서식하는 젠투펭귄 개체수는 38만7,000쌍으로 약 77만4,000여마리다. 턱끈펭귄 400만쌍(800만마리), 아델리펭귄 237만쌍(약 500만마리)과 비교하면 현저히 개체수가 적다.이처럼 개체수가 적은 젠투펭귄이 남극에서 가장 많이 서식하는 곳 중 하나가 바로 킹조지섬이다. 그중에서도 ‘남극특별보호구역(ASPA) No. 171 나레브스키 포인트’, 일명 ‘펭귄마을’에는 약 3,00
시사위크=남극특별취재팀 남극세종과학기지(이하 ‘세종기지’)에서 가장 자주 볼 수 있는 펭귄종은 ‘젠투펭귄’이다. 매일 아침 세종기지 주변 바닷가를 거닐면 3~4마리의 젠투펭귄이 무리를 지어 놀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때문에 세종기지 월동대 연구원들은 젠투펭귄을 ‘남극의 비둘기’라고 우스갯소리를 하기도 했다.젠투펭귄이 공식적으로 세상에 알려진 것은 1781년이다. 독일의 동물학자 요한 라인홀드 포스터가 남대서양 포틀랜드 제도에서 발견했다. 이후 ‘젠투펭귄(Pygoscelis papua)’이라는 학명을 붙였다. 외형을 살펴보면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