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차장 출신인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0일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비상계엄 2일 차 계획도 있었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박 의원이 지난 9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민원실 앞에서 국방부 조사본부에 12.3 내란 혐의자에 대한 고발장을 접수하기 전 취재진 앞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국정원 차장 출신인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0일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비상계엄 2일 차 계획도 있었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박 의원이 지난 9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민원실 앞에서 국방부 조사본부에 12.3 내란 혐의자에 대한 고발장을 접수하기 전 취재진 앞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시사위크=전두성 기자  국정원 차장 출신인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0일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비상계엄 2일 차 계획도 있었다고 주장했다.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가결된 뒤에도 제7·13공수여단에 투입 준비를 하라는 명령이 있었다는 것이다.

박 의원은 이날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계엄 2일 차 계획표가 짜여 있었다는 게 사실인가’라는 질문에 “그렇게 보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사람들은 (4일 오전) 1시 2분에 비상계엄 해제 요구가 가결됐으니까 끝났고, 특전사가 국회에서 빠져나갔으니까 끝났을 거라고 생각했지 않은가”라며 “그런데 이 해제요구결의안이 통과된 것을 합참 지휘통제실에서 윤석열 (대통령)·박안수(당시 계엄사령관)·김용현(당시 국방부 장관), 김명수 합참의장 등이 다 보고 있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그러면서 바로 합참 지휘통제실 시스템을 통해 추가 지시가 내려갔다”며 “‘익산에 있는 제7공수, 충북 증평에 있는 제13공수를 즉각 파견할 준비를 지금 하라’고 명령이 내려갔다”고 밝혔다.

이어 “7공수·13공수 여단장에게 바로 지시가 내려가서 ‘임무 비상대기하고 바로 임무 투입 준비해서 기다려라’라는 것이 2일 계획”이라며 “이는 굉장히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해제요구결의안을 보면서 추가 지시가 내려간 것”이라며 “윤석열이 ‘계엄 또 하면 되지’, 이랬다는 거 아닌가. 전군을 장악해서 (계엄에) 동원하려고 했던 것이기 때문에 위험했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당시 국무회의에서 계엄 해제가 결정되면서 출동을 못 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박 의원은 김 전 장관이 대통령 경호처장 당시 수도방위사령관·특전사령관·방첩사령관과 경호처장 관저에서 회동한 것 등을 이유로 들며 “최소 3월부터 (계엄) 준비가 돼 있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