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지난 3일 계엄령 선포 당시 선거관리위원회에 투입된 계엄군이 선관위 시스템 서버를 촬영하는 장면이 담긴 CCTV를 6일 공개했다.(사진=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제공)  /뉴시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지난 3일 계엄령 선포 당시 선거관리위원회에 투입된 계엄군이 선관위 시스템 서버를 촬영하는 장면이 담긴 CCTV를 6일 공개했다.(사진=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제공) /뉴시스

시사위크=손지연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 시 국회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계엄군을 먼저 투입됐다. 계엄군은 서버 장비를 촬영했고 일각에서 이를 통해 포렌식이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오는 가운데 선관위는 단순 사진 촬영만으로는 시스템에 접근하는 기술 자체가 없다며 접근 사실도 없다고 일축했다. 

조동진 중앙선관위 대변인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계엄군이 사진 찍은 내용들이 케이블 연결 위치 정보를 촬영해 간 것으로 알고 있다”며 “현재까지 기술상으로는 서버에 접근하지 않는 이상 사진 촬영만으로 내부 자료를 빼내 가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조 대변인은 “저희가 CCTV 화면하고 시스템 로그 기록이 다 남아 있는데 그런 기록 등을 수차례 확인했다”며 “시스템에 접근한 기록이라든지 포렌식을 진행한 사실은 없는 것으로 저희가 확인을 했다”고 밝혔다.

선관위는 당시 계엄군이 서버 케이블 사진을 촬영한 이유는 서버 장비를 통째로 탈취할 계획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서버를 가져가려면 연결된 케이블을 빼고 옮긴 뒤 다시 연결해야 하는데 여러 개의 케이블이 있다 보니 재조합 시 활용하기 위해 사진을 촬영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조 대변인은 윤 대통령이 지난 12일 대국민 담화에서 비상계엄 선포 동기로 ‘부정선거 음모론’을 제시한 것을 두고 충격적이라고도 언급했다. 그는 “대통령 담화에서 직접적으로 선거에 부정이 의심된다는 그런 담화를 말씀을 했다”며 “저희 기관 입장에서는 충격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정선거 음모론에 대해 “요즘에 특히 보수 유튜버에서 부정선거를 많이 주장하고 있다”며 “계속 비슷한 성향의 영상에 노출되다 보니까 확증편향 경향이 있어서 이분들을 설득하기는 쉽지는 않은 상태”라고 했다. 

이어 “보수 유튜버들 상대로 저희가 선거 자유 방해죄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 방해죄 등으로 저희가 선거철에 고발을 수차례 했지만 사실 수사기관이나 법원에서 기소나 유죄판결로 연결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는 “입법의 미비가 있는 걸로 보인다”며 “선거에 관한 허위사실 유포 행위에 관련해서 이 부분을 계엄 사태와 관련도 되어 있고 엄중하게 보고 있어서 입법 미비에 관한 부분은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할까 지금 고민 중에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