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제갈민 기자  지난해 12월 29일, 전라남도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가 100일을 넘겼다. 그간 사고 조사가 이뤄졌으나 공개된 내용은 한정적이다. 사고 원인에 대해서도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진 게 없다. 이에 참사 유족들과 유족을 지원하는 법률지원단 측은 참사 당시 조종사와 관제사 사이 교신기록을 공개하라는 요구를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지만 국토교통부는 공개하지 않고 있다.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사고는 항공기 착륙 과정에서 버드스트라이크(조류충돌)가 발생해 정상적인 착륙이 어려워졌고 결국 동체착륙을 하면서 벌어졌다. 이 과정에서 속도를 줄이지 못하고 결국 활주로 남쪽 끝부분으로부터 270m 정도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콘크리트 기초의 로컬라이저 둔덕(흙더미)에 부딪히면서 항공기가 크게 파손되며 수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

이 사고 영상을 접한 국내외 항공업계 전문가들은 “동체착륙은 너무나 완벽했다”고 입을 모은다. 그러면서 사고 규모를 키운 원인에 대해서는 ‘콘크리트 기초의 로컬라이저 둔덕’을 꼬집었다.

현재 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에 대한 조사가 진행 중이지만, 버드스트라이크로 인해 ‘투 엔진 페일(양쪽 엔진 동력 상실)’ 상황이 발생하고 전자계통까지 문제가 생겨 블랙박스도 먹통이 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 때문에 사고 직전 약 4분 전부터 항공기 내에서 나눈 대화 등 음성 기록을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렇다보니 일각에서는 “사고 원인을 밝히려면 항공기 조종사와 관제탑의 관제 교신 음성 기록을 공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항공기 조종사와 관제사의 교신 기록은 블랙박스 자료를 당장 확인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사고 직전의 긴박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국토부에서는 조종사와 관제사의 교신 기록인 음성파일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그나마 한 언론 보도를 통해 교신기록 일부가 공개됐다. 하지만 이마저도 2∼3분 정도의 분량이며, 음성파일 자체는 찾아보기 힘들다.

일부 공개된 교신 기록에 따르면 당시 항공기는 오전 8시 58분 56초에 버드스트라이크가 발생한 것을 관제탑에 알렸으며 고어라운드(착륙을 포기하고 재이륙·복행)를 통보했다. 관제탑에서는 이를 승인하고 고도를 5,000피트까지 높일 것을 지시했고,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와 착륙이 가능한지를 재차 물었다.

조종사는 다시 착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관제탑 측에 “언에이블(착륙 불가능)”이라고 전하며 오전 9시 00분 21초 “라이트 턴, 런웨이 01 착륙(오른쪽으로 선회해 활주로 01 방향으로 착륙) 허가를 요청한다”고 말했다. 오른쪽으로 한 바퀴를 돌아 다시 예정된 활주로 남쪽(01)에서 북쪽(19) 방향으로 착륙하겠다는 뜻이었다.

관제탑은 ‘라이트 턴’이 맞는지 재차 물었고, 조종사는 “맞다”고 확인했다. 그러나 관제탑에서는 갑자기 활주로 01(남쪽) 방면 착륙이 아닌 활주로 19(북쪽)에서 남쪽으로 착륙을 제안했고, 조종사는 이를 준비했다. 이어 관제탑에서는 “런웨이 19, 바람 없고, 착륙허가(활주로 19(북쪽)은 바람없는 상태라 안전하다)”라며 착륙을 허가했고, 항공기는 해당 활주로로 동체착륙 하면서 로컬라이저를 받치던 콘크리트 둔덕에 부딪혀 참사로 이어졌다.

문제는 사고 직전 항공기 조종사와 관제사 간의 교신 기록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관계당국이 교신기록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으면서 사고 경위를 둘러싼 의혹과 억측이 증폭되고 있다. 이와 달리 해외 항공당국에서는 항공기 사고가 발생한 직후 항공기 조종사와 관제탑 관제사 간의 교신 기록을 공개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1월 2일 일본 하네다국제공항에서 착륙을 하던 일본항공(JAL) 항공기와 해상보안청의 항공기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는데, 일본 국토교통성에서는 조종사와 관제사의 교신 기록을 공개했다. 또 올해 1월 29일 미국 로널드 레이건 워싱턴 내셔널 공항 근처에서 아메리칸항공(AA) 여객기와 미 육군 헬리콥터가 공중 충돌한 사고와 관련해서도 당시 기장과 관제탑 간의 교신기록을 공개한 바 있다.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교신기록 역시 공개하지 않을 명확한 근거가 없는 만큼 공개돼야 불필요한 억측을 줄일 수 있으며, 교신 간에 문제가 있었다면 이를 토대로 보완책을 마련해 이와 같은 사고 재발을 막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