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이민지 기자 위기 청소년 10명 중 3명은 일상생활을 하기 힘들 수준의 우울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여성가족부는 ‘2024년 위기청소년 지원기관 이용자 생활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청소년복지지원법’에 따라 3년마다 실시되는 통계조사다. 지난 2021년 첫 조사가 이뤄진 이후 이번이 두 번째다. 이번 조사는 위기 청소년 지원기관 이용경험이 있는 전국 9세~18세 청소년 4,627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6월 20일부터 9월 13일까지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위기 청소년의 33%는 지난해 최소 2주 내내 일상생활을 하기 힘들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 조사(26.2%) 대비 6.8% 증가한 수치다.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 청소년(40.5%)이 남성 청소년(25.6%)에 비해 우울감을 더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을 시도해본 적 있는 위기 청소년은 8.2%로, 2021년(9.9%) 대비 1.7% 감소했다. 하지만 자해를 시도해본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21.5%로, 같은 시기 대비 2.8% 증가했다.
자살 시도의 주된 이유는 ‘심리불안’(37.3%)으로 나타났다. △가족 간의 갈등(27%) △학업문제(15%) △선후배‧또래와의 갈등(8%) △미래에 대한 불안(7%) 순으로 조사됐다.
은둔 경험이 있는 위기 청소년은 25.8%였으며, 이는 코로나 팬데믹이 한참이던 2021년(46.7%)에 비해 소폭 감소한 수치다.
또 가출 경험을 해봤다고 답한 위기 청소년은 27.7%로, 2021년(32.6%) 대비 감소했다. 집을 나오게 된 주된 이유로는 ‘가족과의 갈등’이 69.5%로 가장 높았다. △자유로운 생활(34.3%) △가정폭력(26.3%) 순으로 뒤를 이었다.
위기 청소년들이 희망하는 지원 서비스로는 ‘일자리 제공’(77%)이 가장 많은 응답을 얻었다. 계속해서 △경제적 지원(74.9%) △직업교육훈련‧자격증 취득(74.6%) △각종 질병 치료(72.1%) △다양한 청소년 활동 참여 기회(70.1%)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상담1388’과 전국 240개 청소년상담복지센터를 통해 자살‧자해 및 학교폭력 등 위기상황에 놓인 청소년들을 지원할 계획이다. 위기청소년안전망시스템을 통해 교육부‧복지부‧경찰청‧병무청 등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활성화해 위기 청소년 발굴도 확대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고립‧은둔 청소년 첫 전국 조사 실시… “약 14만명 추정”
- ‘삶의 만족도’ 4년 만 하락… ‘자살률’은 9년 만 최고 수치
- 정부, 저소득가정 아동·청소년 안과 질환 수술비 지원
- 초록우산, 제21대 대선 맞아 ‘아동이 바라는 아동정책’ 전달
- 사이버폭력 피해 청소년, 자살 충동 더 높다
- 청소년 10명 중 4명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남학생 취약
-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청소년 21만명… 중학생 가장 많아
- [홍현주 교수 인터뷰] 청소년 자살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 전자담배에 빠져드는 청소년… 학년 오를수록 위험
- 정신건강 전문인력 턱없이 부족 … 인력난에 가로막힌 자살 예방
- “지도사 1명에 고위험군 청소년 6명”… 청소년디딤센터 종사자의 고통
- 자해‧자살 환자 10년 새 3.6배 증가… 1020세대 급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