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8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주재한 내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8일(현지 시간) 백악관에서 주재한 내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워싱턴=AP/뉴시스

시사위크=권신구 기자  일본과 인도네시아 등과 관세 협상을 타결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향후 협상 대상국을 향해 시장 개방을 압박하고 나섰다. 미일 간 관세 협상 체결로 한국 정부의 고심도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시장 개방에 동의하는 나라에만 관세를 인하할 것”이라며 “그렇지 않으면 훨씬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다. 그는 다른 글에서도 “주요 국가들이 미국에 시장을 개방한다면 관세를 포기할 것”이라고도 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일본과 관세 협상이 타결됐음을 알렸다. 일본으로부터 5,500억 달러를 투자받기로 한 대신 상호관세율을 25%에서 15%로 인하하는 내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그 수익의 90%를 얻게 된다”며 “가장 중요한 점은 일본이 자동차와 트럭, 쌀, 기타 농산물 등 여러 품목에 대해 자국 시장을 개방한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트럼프 대통령의 노골적 요구에 한국 정부의 부담도 커질 전망이다. 당장 미국은 한국에 소고기, 쌀 등 농축산물에 대한 추가 개방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인데, 이는 한국 정부가 선뜻 응하기 어려운 조건이다. 일본 역시 쌀 시장 개방을 조건으로 협상을 체결했다는 점도 고민을 더 하고 있다.

오는 8월 1일로 예정된 미국의 상호관세 발효 시한이 약 일주일 앞둔 가운데, 정부도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대통령실은 전날 “미일 협상 결과의 세부 내용은 파악 중이며 우리 정부 협상에도 참고할 예정”이라며 “우리 정부도 국익을 최우선으로 미국과의 협의에 임할 예정”이라고 했다.

상황은 쉽지 않아 보인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오는 25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 2+2 통상협의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베선트 장관의 긴급 일정을 이유로 불발됐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미국 측은 조속한 시일 내에 개최하자고 제의했고 한미 양측은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일정을 잡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