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김주영 의원 '고용보험법' 개정안 대표발의
고용보험 적용 기준 '근로시간'에서 '소득'으로 변경
시사위크=김두완 기자 고용 형태나 계약 명칭과 무관하게 일하는 모든 사람의 권리를 법이 보호할 수 있도록 국회가 나선다. 30년 넘게 유지해 온 고용보험 가입 기준인 ‘근로시간’을 ‘소득’을 기준으로 전환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더불어민주당 김주영 의원(경기 김포시갑)은 5일 고용보험 적용 기준을 현행 근로시간에서 소득으로 바꾸고, 구직급여 기준을 현행 ‘이직 전 3개월의 평균임금’에서 ‘이직 전 12개월의 월평균보수’로 개편하는 ‘고용보험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고 밝혔다.
1995년 도입된 고용보험은 ‘주 15시간’ 이상의 소정 근로시간이 충족돼야 가입이 가능했다. 따라서 2개의 사업장에서 각각 주 14시간을 일해도 각 사업장별 가입 기준에는 미치지 못해 고용보험에 가입할 수 없었다. 특수고용직·프리랜서·플랫폼 노동자와 자영업자 등 근로시간 관리가 어려운 형태의 일자리나 저소득·불안정 노동에 종사하는 취약계층은 고용보험 가입의 사각지대에 놓였던 셈이다. 때문에 이들이 실업 등 위기사항이 발생하면 충분한 보호를 받기가 어려웠다.
이에 김주영 의원은 고용보험 적용 기준을 현행 소정근로시간에서 월 보수로 바꾸고, 구직급여(실업급여) 산정 기초가 되는 기준을 현행 ‘이직 전 3개월의 평균임금’에서 ‘이직 전 12개월의 월평균보수’로 개편하는 개정안을 발의했다.
구직급여 기준을 변경한 것은 3개월치를 평균으로 계산하면 계절적 영향으로 임금 변동이 크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직 전 12개월의 월평균보수’로 확대한 것이다.
김주영 의원은 “초단시간 근로자나 다수의 일자리를 병행하는 이른바 ‘N잡러’ 등은 고용보험의 보호에서 배제되고 있었다”며 “노동 시장 내 유연성이 늘다 보니 개인별 소득을 기반으로 한 고용보험 관리 체계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왔다”고 밝혔다.
이어 김 의원은 “이번 개정안은 앞으로 모든 일하는 사람의 보편적인 고용 안전망으로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것이다”며 “앞으로 시대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사각지대 밖에 있는 노동자를 보다 튼튼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남인순 “지역사회에서 일차의료가 지속적으로 보장돼야”
- 주철현 의원 “굴산업, 글로벌 수산식품 산업으로 육성해야”
- 이상휘 의원 “개인정보 악용한 불법 추심 방지해야”
- 김태선 의원 “근로자가 정당하게 자기 건강 챙길 수 있어야”
- 이주영 의원 “아동의 건강한 육성, 국가가 지원해야”
- 김재섭 의원 “자립준비청년에 법적 울타리 제공해야”
- 김소희 의원, 금연구역 음성안내 설치법 발의… “학생 건강 지켜야”
- 정연욱 의원, ‘저작권법’ 개정안 대표발의… “AI시대, 언론저작물도 명확히 보호해야”
- 임호선 의원, ‘위험성 높은 경범죄’ 가중처벌법 발의
- 구자근 의원, ‘빈점포활용법’ 발의… “지역 상권 빈 점포 활용해야”
- 김현정 의원 “상호금융권 전체 금소법 적용 받아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