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허 카젬 사장이 이끄는 한국지엠이 이번엔 사망사고로 거센 파문에 휩싸였다. /뉴시스
카허 카젬 사장이 이끄는 한국지엠이 이번엔 사망사고로 거센 파문에 휩싸였다. /뉴시스

시사위크=권정두 기자  거듭되는 판매부진 및 경영악화, 노사갈등 등으로 바람 잘 날이 없는 카허 카젬 한국지엠 사장이 이번엔 사망사고라는 또 다른 악재를 마주하게 됐다. 지난 8월 극적으로 임단협을 해결하며 모처럼 반등의 계기를 마련했지만, 더욱 까다로운 난제에 부딪히게 된 모습이다. 특히 중대재해처벌법의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산재 사망사고가 사회적으로 상당히 민감한 사안이라는 점에서 파문이 상당할 전망이다.

◇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앞두고 터진 사망사고 ‘거센 후폭풍’

산업현장에서 또 하나의 안타까운 사망사고가 발생한 것은 지난 20일 밤 한국지엠 보령공장에서다. 작업 중이던 40대 근로자 A씨가 설비에 끼이는 사고를 당했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이 기계를 해체해 A씨를 구조하고 병원으로 옮겼으나 그는 끝내 숨을 거뒀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이 임박한 민감한 시기에 발생한 이번 사망사고는 거센 파문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한국지엠의 안일한 안전의식이 사고의 근본 원인이란 지적이 제기되는 가운데, 유가족들은 제대로 된 사과조차 하지 않는 사측의 태도에 반발해 장례절차까지 중단한 상태다.

전국금속노동조합(금속노조)에 따르면, A씨는 안전관리자는 물론 동료도 없이 혼자 10대 이상의 설비 운전을 담당했으며, 경보가 울릴 경우 설비 안으로 들어가 조치를 취해야 했다. 문제는 이 같은 조치를 취하는 과정에서 전원을 차단하는 등의 안전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금속노조는 산업안전보건법을 명백하게 위반한 이 같은 실태가 사측의 지시에 의해 이뤄졌다고 지적한다. 또한 현장에서 설비 노후 문제를 꾸준히 제기했음에도 사측이 이를 묵살한 채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은 것이 비극으로 이어졌다고 강조하고 있다.

A씨의 유가족들은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한지 일주일이 훌쩍 지난 현재까지도 한국지엠 측의 사후조치 및 태도에 반발해 장례를 중단하고 있는 상태다.

이에 대해 한국지엠 측은 “현재 사고 조사가 진행 중이어서 추가적인 설명은 어렵다”면서 “관계당국의 조사에 성실히 임하겠으며, 회사와 임직원 모두는 사망한 직원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분들께도 깊은 애도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이처럼 사망사고가 거센 후폭풍을 낳고 있는 상황은 갈 길 바쁜 카허 카젬 한국지엠 사장에게 중대 악재가 아닐 수 없다. 

2017년 9월 한국지엠 수장으로 부임한 카허 카젬 사장은 이후 줄곧 험로를 걸어왔다. 우선, 카허 카젬 사장 취임 이후 한국지엠의 판매실적은 속절없이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2016년 18만275대로 정점을 찍은 내수시장 판매실적은 이후 △2017년 13만2,377대 △2018년 9만3,317대 △2019년 7만6,471대 △2020년 8만2,954대로 급감했다. 특히 최근 2년 연속 국내 완성차업계에서 내수시장 판매실적 꼴찌에 머무르며 체면을 구기기도 했다.

수출도 상황이 좋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2016년까지만 해도 연간 40만대 수준이었던 수출 물량이 2017년 30만대 수준으로 떨어진데 이어 지난해에는 28만여대에 그쳤다. 자연스레 전체 판매실적 역시 하락세가 뚜렷한 모습이다.

또한 한국지엠은 카허 카젬 사장 취임 이후 극심한 노사갈등을 빚어오고 있다. 해마다 임단협을 둘러싼 갈등이 끊이지 않았을 뿐 아니라, 한국지엠의 존속 및 투자를 둘러싼 잡음과 비정규직과의 대립 등이 거듭됐다. 파업 등으로 노사가 강하게 대치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심지어 카허 카젬 사장은 불법파견 혐의로 고발돼 재판을 받고 있기도 하다.

이런 흐름 속에 카허 카젬 사장은 최근 모처럼 반등의 계기를 마련한 바 있다. 올해 임단협을 지난 8월 매듭지은 것이다. 이는 최근 들어 가장 빠른 타결이었으며, 특히 트레일블레이저의 북미수출이 본격화하는 시점에 임단협을 조기 타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컸다.

하지만 이 같은 시점에 터진 사망사고로 카허 카젬 사장은 또 다시 까다로운 현안을 마주하는 곤혹스러운 상황을 맞게 됐다. 유가족 및 노조의 반발이 거센데다, 시기적으로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앞두고 있어 당분간 파문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