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가능성 시사에 우리 측의 선제적 금리 인하를 요구했다. / 뉴시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가능성 시사에 우리 측의 선제적 금리 인하를 요구했다. / 뉴시스 

시사위크=권신구 기자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가운데 국민의힘 내에서 선제적 금리 인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다른 국가들 역시 선제적 금리 인하에 나서고 있는 만큼, 우리도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취지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2일 페이스북에 “3.5%인 국내 금리는 미국보다 여전히 2% 낮은 수준이지만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가계, 기업부담과 내수부진 타개를 위해 이번 달에 선제적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지적해 왔다”고 말했다.

이어 “기준금리 인하 결정에 중요한 요인인 근원물가 상승률이 2% 초반으로 내려왔고 지난 2분기 성장률이 –0.2% 성장하고 유럽중앙은행과 캐나다, 중국, 영국 등 다른 나라에서도 선제적으로 금리 인하에 나서고 있는 만큼 우리도 타이밍을 놓쳐서는 안 된다”고 했다. 

앞서 파월 의장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이르면 9월 회의에서 통화정책 완화를 다룰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인플레이션이 둔화와 경제 성장세 유지, 노동시장 완화 추세 지속 등 기준이 부합한다면 이를 논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금리 인하 시그널에 우리 정부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날(1일) 거시경제 금융회의에서 “주요국 금리 인하 시기와 폭 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관계기관 공조 하에 높은 경계심을 갖고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윤 의원은 “장기적 내수부진의 원인으로 고금리 장기화가 손꼽히고 있는 만큼 이제는 통화정책의 방향을 선회할 필요가 있다”며 “금리가 인화되면 내수회복에 도움이 되고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 취약차주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긴축 기조를 유지하되 부동산·가계부채 등의 위험요인을 DSR 등을 통해 면밀히 관리한다면 기준금리를 인하해도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소비와 투자 등 내수회복의 불씨를 살려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윤 의원은 “한국은행과 유관기관은 선제적인 금리인하의 시그널을 면밀히 분석하고 사전에 부동산 시장, 가계부채, 외환시장의 변동성 확대 등 리스크 점검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며 “경제는 타이밍이다. 이창용 금융통화위원회 의장님을 비롯한 금융통화위원들의 결단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