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여사 리스크가 정국을 달구고 있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적 부담도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야당은 이를 대여공세에 전면에 내세우고 강공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 뉴시스 
김건희 여사 리스크가 정국을 달구고 있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적 부담도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야당은 이를 대여공세에 전면에 내세우고 강공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 뉴시스 

시사위크=권신구 기자  이른바 ‘김건희 리스크’가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적 부담을 가중할 것으로 보인다. 명품백 수수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등이 새 국면에 접어든 데다가 공천개입 의혹도 현재진행형이기 때문이다. 야권이 추진한 ‘김건희 특검법’의 거부권 행사 시한이 다가오고 있는 가운데, 정국의 격랑도 다시금 불어닥칠 것으로 보인다.

◇ 커지는 의혹에 깊어지는 우려

25일 민주당은 김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에 대해 맹공에 나섰다. 전날(24일) 검찰수사심의위원회가 명품백을 건넨 최재영 목사에 대해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로 기소 권고 결정을 내렸기 때문이다. 이같은 결정은 앞서 수심위가 내린 결론과 정반대였다. 수심위는 지난 6일 김 여사와 관련한 의혹에 대해 불기소를 권고한 바 있다. 김 여사에게 건넨 명품백 등 물품에 ‘직무 연관성’이 없다고 본 것이다. 검찰의 잠정 수사 결론과도 일치했다.

하지만 전날 수심위의 결정이 달라지면서 분위기는 확연히 달라졌다. 수심위의 결론은 ‘권고적 효력’ 뿐이지만, 정치권 안팎의 이목이 집중된 사안이라는 점에서 수사팀이 배제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즉각 민주당은 “명품백을 준 사람도 받은 사람도 직무 관련성이 없어 죄가 없다면 검찰의 억지 논리가 깨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은 이를 ‘기회’로 삼는 모습이다. 김 여사에 대한 특검법을 처리한 상황에서 윤 대통령과 여권에 대한 공세의 명분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민주당은 이날 곳곳에서 이와 관련한 강경 발언을 쏟아냈다. 전현희 민주당 최고위원은 부산 금정구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김 여사와 경제적 공통체인 유 대통령의 제3자 뇌물죄 혹은 포괄적 뇌물죄 여부에 대해서 수사를 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명품백 수수 의혹뿐 아니라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도 리스크를 키우는 요인이 됐다. 주가조작 수사가 본격화됐던 지난 2020년 9~10월 사이에 김 여사와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가 전화와 문자를 주고받은 사실을 검찰이 확보한 것으로 알려지면서다. 과거 이 전 대표가 김 여사가 결혼한 이후 연락을 한 적이 없다고 했던 것과는 다른 정황이 드러난 셈이다. 

또한 지난 2022년 지방선거와 4·10 총선 과정에서 김 여사의 공천개입 의혹도 계속되고 있다. 민주당은 이를 대여 공세 전면에 세웠다. 한민수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김건희 여사가 국민의힘 공천에 개입했다면 국정 농단을 넘어서 헌정 유린”이라며 “대통령 부인이 헌정 질서를 유린하며 민주주의 근간을 파괴했다는 의혹에 대한 진상을 철저히 밝혀내고 준엄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도 김 여사의 공천 개입 의혹과 관련된 김영선 전 의원과 명태균 씨 등을 증인으로 부르기로 했다.

김 여사에 대한 리스크가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 여권 내부에서도 불안감이 역력하다. 김근식 국민의힘 송파병 당협위원장은 지난 23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김 여사 리스크가 실제로 현실화 되는게 아니냐는 불안감은 항상 있다”고 언급했다. 불발된 ‘윤-한 독대’와 관련해 장동혁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이날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독대를 요청했다면 김 여사 문제에 대한 부분에 대한 말씀을 오히려 주로 하지 않았을까”라고 한 것도 사안을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다는 방증이다.

‘김건희 리스크’를 둘러싼 여야의 신경전은 김건희 특검법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를 앞두고 더욱 극심해질 전망이다. 국회를 통과한 김건희 특검법과 채상병 특검법, 지역화폐법 등에 대한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시한은 내달 4일까지다. 대통령실은 사회적 공감대 없이 야당이 단독 강행 처리한 법률에 대해선 타협하지 않는다는 게 원칙이라며 사실상 거부권 행사를 예고한 상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