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7년 2월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15차 변론기일에서 당시 국회 탄핵소추위원단장이었던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이 위원들과 대화를 하고 있다.  /뉴시스
지난 2017년 2월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15차 변론기일에서 당시 국회 탄핵소추위원단장이었던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이 위원들과 대화를 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위크=손지연 기자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윤석열 대통령까지 탄핵 심판을 받게 되면서 8년 만에 또다시 보수 정권이 위기를 맞았다. 박 전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 비박계 의원들의 탈당 러시와 창당으로 이어졌다. 반면 윤 대통령 탄핵 가결 이후 국민의힘은 여당 지위를 지키는 데 골몰하고 있다. 

국민의힘 내에선 지난번 탄핵 정국과 이번 탄핵 정국에서 당이 취하는 태도가 다른 이유로 비주류의 세력화 실패, 유의미한 ‘대선 주자’의 부재와 ‘이재명만은 안 된다’는 위기감을 들었다. 

국민의힘은 일단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최대한 늦추겠다는 전략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7일 국회 탄핵소추위원단이 윤 대통령 탄핵 심판에서 ‘형법상 내란죄’를 철회하겠다고 주장한 것을 두고 “기존 소추 사유와의 동일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것”이라며 “탄핵 심판의 공정성에 대한 신뢰가 흔들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에서는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심판 당시 국회 탄핵소추위원장이었던 권 원내대표가 당시와 다른 논리를 펴고 있다고 꼬집었다. 권 원내대표는 국회 탄핵소추위원장으로 헌법재판소에 “기본적 사실관계는 그대로 두고 뇌물죄나 강요죄 등 형법상 범죄 성립 여부는 논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권 원내대표가 헌재에서 밝혔던 법 논리를 뒤집으면서까지 ‘윤 대통령 지키기’에 나서는 것은 8년 전과 정치적 상황이 판이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국회 탄핵소추단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사유에서 '내란죄'를 제외한 것과 관련해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지난 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를 항의 방문한 뒤 취재진 앞에서 관련 내용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국회 탄핵소추단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사유에서 '내란죄'를 제외한 것과 관련해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지난 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를 항의 방문한 뒤 취재진 앞에서 관련 내용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날 <시사위크>와의 통화에서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두고 “진짜 왜 이런 결정을 했냐. 버티면 이재명 대표의 2심 판결도 나오고 윤 대통령 개인의 상황이 안 좋았던 것이지 실제로 당은 살아나는 상황이었다”며 “이런 상황에서 비상계엄 선포로 인해 이런 정국을 맞이한 것에 다들 답답해한다. 그렇다고 버릴 수도 없고 난감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박 전 대통령의 탄핵 이후 분열됐던 보수정당사를 들며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탄핵 가결을 밀어붙였지만 원내 의원들을 이끌 리더십의 부재로 교섭단체를 형성할 만큼의 세력이 없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 한 전 대표가 1차 탄핵안 부결로 민심을 잃어 대중적인 지지도도 잃어버려 차기 정권 창출을 위한 대선주자가 없어졌다는 것이 당의 입장에서 가장 뼈아픈 부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은 이 대표만 아니면, 문재인 같은 사람이면 우리가 이러겠다는 얘기도 한다”며 “범죄 혐의만 12개가 넘는데 우리나라 대권 후보 중에 이런 사람이 누가 있었냐”고 했다. 현재 국민의힘은 이 대표가 차기 대통령이 됐을 경우 우려가 가장 크다며 ‘대통령 지키기’라는 주장에는 선을 그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