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외교부 장관이 지난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 뉴시스
조현 외교부 장관이 지난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 뉴시스

시사위크=권신구 기자  조현 외교부 장관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에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통상협상 관련 합의문을 채택할 가능성에 대해 “있다”고 답했다. 조 장관은 “원칙만 잘 만들면 서로에게 윈윈(Win-Win) 할 수 있고 한미동맹을 더 굳건히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23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조 장관은 “이재명 대통령께서 분명히 밝혔듯이 국익을 우선으로 하고 상업적 합리성에 기초해야 하고 이런 것에 못 미치면 조금 더 시간을 갖고 협상할 수도 있다”고 했다.

앞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전날 한미 관세협상 후속 협의를 위해 미국으로 향했다. 귀국한 지 이틀 만에 다시 미국을 방문하게 된 것에 대해 김 실장은 “한두 가지 쟁점에 대해서 우리 국익에 맞는 타결안을 만들기 위해 다시 나가게 됐다”고 설명했다.

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 도착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과 면담을 가진 김 실장은 쟁점에 대해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다만 추가적인 협상의 부분은 남은 것으로 전해졌다. APEC을 기점으로 한 관세협상 타결에 대해서도 “중요한 계기”라며 말을 아꼈다. 

조 장관은 협상의 구체적 내용과 관련해서 “지금 투자 구조, 투자하는 방식, 수익 배분 이런 것들에 관해서 어느 하나를 줄이면 대신 이것이 늘어나는 복잡한 구조가 있다”며 “협상팀이 가서 협상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 이야기하면 자칫 협상에 (방해가 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조 장관은 “‘어느 시점을 데드라인으로 잡고 해야 한다’ 꼭 그건 아니다”라며 “결국 한미 간에 서로 윈윈할 수 있는 좋은 패키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했다.

‘안보 분야’에서는 한미원자력협정 개정도 논의될 전망이다. 조 장관은 “그건 당연히 포함됐다”며 “쓰고 난 사용 후 핵연료는 지금 수조에 다 두고 있는데 이게 머지않아 포화 상태에 이를 테니 그것을 벗겨 재처리하고 재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강력하게 요청했고 그게 받아 들여졌다”고 했다. 

그러면서 “다만 협상으로 가는 데 어떤 것이 걸림돌이냐면 우리가 핵무장을 해야 되겠다, 독자적 핵무장 또는 그렇게 아니더라도 농축과 재처리 능력을 갖추어서 잠재적 핵보유국이 돼야겠다고 이야기하면 NPT 체제에 어긋나는 것”이라며 “그래서 이 문제는 완벽하게 상업적인, 그리고 환경적인 차원의 접근으로 농축과 재처리를 미국으로부터 받아내는 것이 참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