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권신구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에 대한 임명을 재가했다. 야권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장관급 인사를 강행한 27번째 사례가 됐다. 야당은 즉각 “국민과 싸우겠다는 선전포고”라며 반발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지난 29일 김 장관에 대한 임명안을 재가했다. 지난 26일 인사청문회 이후 야당이 줄곧 지명 철회를 촉구했지만, 이를 수용하지 않은 것이다. 이번 임명안 재가로 윤 대통령이 국회의 동의 없이 단행한 장관급 인사는 총 27명이 됐다.
윤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한 것에 대해 야당은 즉각 반발했다.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전날 논평에서 “김 후보자는 고용노동부장관뿐만 아니라 고위공직자로서 자격이 전혀 없는 사람”이라며 “이런 사람을 국무위원으로 임명하는 것은 끝까지 국민과 싸우겠다는 선전포고”라고 했다.
이어 “김 후보자는 일제강점기 시절 선조의 국적을 일본이라고 주장할 만큼 역사관이 엉망인 사람”이라며 “이런 자를 국무위원으로 임명하다니 친일 정부임을 만방에 자랑할 셈인가”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이런 함량 미달의 인사를 국회 인사청문회마저 패싱하고 장관으로 임명하다니 윤 대통령의 특기는 국회 무시, 국민 무시인가”라고 했다.
홍성규 진보당 수석대변인도 같은 날 논평에서 “인사청문회 자리에서 일제강점기 우리 선조들의 국적에 대해 참담하게도 ‘일본이지 그걸 모르나’라고 반문했던 자에게 그 무슨 국가에 대한 충성심이 있단 말인가”라며 “이러니 세간에서 대통령과 김 후보자의 국적을 의심하는 것 아닌가”라고 했다. 같은 날 윤 대통령이 국정브리핑 및 기자회견에서 ‘뉴라이트 인사’ 논란을 일축하며 정부의 인사 원칙을 ‘국가에 대한 충성심’으로 꼽은 점을 비꼰 것이다.
홍 대변인은 “우리 국민 대다수를 구성하는 노동자들을 모두 적으로 돌리겠다는 발상이 아니라면 도저히 납득할 수도, 용납할 수도 없는 인사”라며 “이미 여러 차례 거듭하여 김문수 임명 강행은 탄핵만 앞당길 것이라 경고한 바 있다. 이후 벌어질 모든 사태의 책임은 전적으로 대통령에게 있음을 분명히 못 박아둔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