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경찰 국가수사본부, 국방부 조사본부로 구성된 비상계엄 공조수사본부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출석 요구서를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 뉴시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경찰 국가수사본부, 국방부 조사본부로 구성된 비상계엄 공조수사본부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출석 요구서를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 뉴시스

시사위크=권신구 기자  비상계엄 공조수사본부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출석 요구서를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검찰도 소환을 불응한 윤 대통령에 대한 2차 소환 통보를 할 예정이다.

공조수사본부는 16일 언론 공지를 통해 윤 대통령에게 오는 18일 10시까지 공수처에 출석해 조사를 받으라고 요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내란 및 직권남용 등에 대한 피의자 신분이다. 공조수사본부는 경찰 국가수사본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국방부 조사본부로 구성됐다.

경찰은 이날 윤 대통령 관련 사건을 공수처에 이첩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비상계엄 수사를 위해 공수처의 요청을 받아들였다는 설명이다. 관련 자료를 제공하면서 합동 수사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수사를 이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검찰 역시 이르면 이날 윤 대통령에 대한 2차 소환을 통보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는 지난 11일 윤 대통령에게 15일 오전 10시까지 출석할 것을 요구했지만, 윤 대통령은 응하지 않았다. 변호사 선임이 끝나지 않았다는 이유로 알려졌다.

검찰과 공수처가 윤 대통령에 대한 소환 조사를 요구하고 나서면서 수사 기관들 간의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윤 대통령이 계속 소환에 불응할 경우 긴급체포 등 강제 신병 확보의 가능성도 점쳐진다. 오동운 공수처장은 지난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출석해 “상황이 되면 긴급 체포 또는 체포영장에 의한 체포를 시도하도록 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지난 12일 대국민 담화를 통해 “저를 탄핵하든, 수사하든 이에 당당히 맞설 것”이라며 “그 길밖에 없다고 판단해서 내린 (계엄이라는) 대통령의 헌법적 결단이자 통치행위가 어떻게 내란이 될 수 있나”라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