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공개한  ‘2023년 장기요양 사망자의 사망 전 1년간 급여이용 실태 분석’ 자료에 따르면, 돌봄수급노인의 67.5%가 임종 장소로 자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게티이미지뱅크
1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공개한 ‘2023년 장기요양 사망자의 사망 전 1년간 급여이용 실태 분석’ 자료에 따르면, 돌봄수급노인의 67.5%가 임종 장소로 자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게티이미지뱅크

시사위크=이민지 기자  돌봄수급노인의 67.5%가 임종 장소로 자택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23년 장기요양 사망자의 사망 전 1년간 급여이용 실태 분석’ 자료를 공개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돌봄수급노인의 희망 임종 장소 1위로 ‘자택’(67.5%)이 꼽혔다. 다음으로 ‘병의원’과 ‘노인의료복지시설’이 각각 43.4%를 차지했다.

반면 가족돌봄자는 희망 임종 장소 1위로 ‘병의원’(59.6%)을 선택했다. ‘자택’(51.5%)과 ‘노인의료복지시설’(21.9%)이 뒤를 이으며, 돌봄수급노인과 가족돌봄자 간의 이견이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좋은 죽음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 가능)에는 ‘스스로 정리한 임종’이 85.5%로 가장 많은 응답을 받았다. ‘고통 없는 임종’(85.4%) ‘가족에게 부담 없는 임종’(84.7%) ‘집에서 맞는 임종’(53.9%) 순으로 뒤를 이었다. 또 장기 요양 사망자의 84.1%는 연명 치료에 반대했다.

장기요양등급 최초 인정 이후 사망까지는 평균 3.84년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의료기관에서 사망한 경우는 암환자가 84.7%로 비암환자(70.8%)에 비해 높으며, 시설은 암환자(4.1%)에 비해 비암환자가 13.9%로 높게 나타났다.

장기요양 사망자 중 15.1%는 암으로 사망했다. 사망 1개월 전 암 환자는 평균 593만원, 비암환자는 407만원의 건강보험 급여를 이용했다. 암 환자의 연명의료 중단 등 결정계획 수립과 이행비율은 각각 30.6%, 28.4%로 비암환자 10%, 9.9%보다 높았다.

한편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한국노년학회는 지난 14일 세브란스빌딩 대회의실에서 ‘장기요양 노인의 생애말기 서비스 이용 실태와 과제’를 주제로  ‘건강보험연구원‧한국노년학회 연합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보건복지부, 장기요양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의료계 및 학계 연구자 등 약 150여명이 참석했으며, 장기요양 노인의 생애말기 서비스 이용 실태를 제시하고 품위있는 임종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 검토의 필요성 등을 제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