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이민지 기자 돌봄수급노인의 67.5%가 임종 장소로 자택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23년 장기요양 사망자의 사망 전 1년간 급여이용 실태 분석’ 자료를 공개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돌봄수급노인의 희망 임종 장소 1위로 ‘자택’(67.5%)이 꼽혔다. 다음으로 ‘병의원’과 ‘노인의료복지시설’이 각각 43.4%를 차지했다.
반면 가족돌봄자는 희망 임종 장소 1위로 ‘병의원’(59.6%)을 선택했다. ‘자택’(51.5%)과 ‘노인의료복지시설’(21.9%)이 뒤를 이으며, 돌봄수급노인과 가족돌봄자 간의 이견이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좋은 죽음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 가능)에는 ‘스스로 정리한 임종’이 85.5%로 가장 많은 응답을 받았다. △‘고통 없는 임종’(85.4%) △‘가족에게 부담 없는 임종’(84.7%) △‘집에서 맞는 임종’(53.9%) 순으로 뒤를 이었다. 또 장기 요양 사망자의 84.1%는 연명 치료에 반대했다.
장기요양등급 최초 인정 이후 사망까지는 평균 3.84년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의료기관에서 사망한 경우는 암환자가 84.7%로 비암환자(70.8%)에 비해 높으며, 시설은 암환자(4.1%)에 비해 비암환자가 13.9%로 높게 나타났다.
장기요양 사망자 중 15.1%는 암으로 사망했다. 사망 1개월 전 암 환자는 평균 593만원, 비암환자는 407만원의 건강보험 급여를 이용했다. 암 환자의 연명의료 중단 등 결정계획 수립과 이행비율은 각각 30.6%, 28.4%로 비암환자 10%, 9.9%보다 높았다.
한편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한국노년학회는 지난 14일 세브란스빌딩 대회의실에서 ‘장기요양 노인의 생애말기 서비스 이용 실태와 과제’를 주제로 ‘건강보험연구원‧한국노년학회 연합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보건복지부, 장기요양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의료계 및 학계 연구자 등 약 150여명이 참석했으며, 장기요양 노인의 생애말기 서비스 이용 실태를 제시하고 품위있는 임종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 검토의 필요성 등을 제기했다.
관련기사
- ‘뇌전증 관리 지원법’ 제정안 발의… 제22대 국회 선택은
- 산분장 제도, 오는 24일부터 공식 시행… “유가족 비용 절감 효과 기대”
- 대법원, 동성 동반자에 대한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 인정
- 위기가구 발굴, 이제 47가지 정보로 판단한다
- ‘삶의 만족도’ 4년 만 하락… ‘자살률’은 9년 만 최고 수치
- 기초생활수급자 근로능력판정 이유 공개한다… “수급자 알권리 보장”
- 장기요양 통합재가서비스, 오는 3월부터 본격 시행
- 고독사 없애러 ‘이웃연결단’이 나선다
- [3.8 세계 여성의 날] 돌봄 노동자의 현실로 바라본 여성 노동
- ‘노인 천만시대’… 국가인권위 “법정 정년 60세→65세 상향추진 권고”
- ‘초고령 한국’ 치매 환자 100만 명 임박… 돌봄 부담 어쩌나
- 장애인활동지원사, 10명 중 8명 중장년 여성… 월평균 수입 201만원
- 돌봄로봇, 초고령 사회 해결책 될까… ‘2025 돌봄로봇 정책 심포지엄’ 개최
- 초고령사회 돌봄 부담, ‘돌봄로봇’ 해결책 될까
- 복지부, 노인정책영향평가 도입… “정책 대상자 관점 반영”
- 복지부, ‘의료‧요양 통합 돌봄 추진본부’ 구성… “돌봄 국가가 책임질 과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