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서울시와 서울시복지재단에서 발표한 '서울시 장애인활동지원사 처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에서 활동하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10명 중 8명이 중장년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 생성형 AI로 제작한 이미지
25일 서울시와 서울시복지재단에서 발표한 '서울시 장애인활동지원사 처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에서 활동하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10명 중 8명이 중장년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 생성형 AI로 제작한 이미지

시사위크=이민지 기자  서울시에서 활동하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10명 중 8명이 50~60대의 중장년 여성인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서울시와 서울시복지재단은 ‘서울시 장애인활동지원사 처우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앞서 시는 지난 2021년 12월 30일 일상생활 및 사회활동이 어려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신체‧가사‧사회활동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처우개선을 위해 ‘장애인활동지원인력 처우 실태조사’를 3년마다 실시하도록 하는 조례를 제정한 바 있다.

이에 지난해 8월 서울시 소재 활동지원기관에 소속된 장애인활동지원사 3,00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웹과 모바일 통해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여성이 82.4%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연령대로는 60대 이상이 43.4%로 가장 많았으며, △50대(36.4%) △40대(13.6%) △30대(5%) △20대(1.6%) 순으로 뒤를 이었다.

서울시는 돌봄노동의 최전선에 있는 장애인활동지원사는 따로 자격증이 필요 없이 전문 교육만 수료하면 근무가 가능하고, 일하는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령층이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활동지원사들은 주로 월요일부터 토요일 아침에 근무(87.6%)하며, △일요일 및 공휴일(7.0%) △평일 심야(5.4%)에도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하루 평균 근무시간은 주중 7.6시간, 주말 6시간으로, 월평균 근무시간은 약 168시간이다.

장애인 활동지원사는 한 달에 평균적으로 201만원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 그래픽=이주희 디자이너
장애인 활동지원사는 한 달에 평균적으로 201만원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 그래픽=이주희 디자이너

활동지원사들은 업무 강도에 비해 낮은 수입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평균 수입을 묻는 질문에 101~160만원을 번다고 답한 응답자가 30.2%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201~300만원(26.5%) △161~200만원(19%)이라고 답했다. 활동지원사의 월평균 수입은 201만원이다.

근무조건과 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관련한 항목에서 1위로 꼽힌 것은 ‘일에 대한 보람’(5점 만점에 3.74점)이었으며, ‘임금수준’은(5점 만점에 2.84점) 가장 낮은 순위를 차지했다. 활동지원사를 그만두는 이유로도 ‘저임금’(26.7%)이 가장 많은 응답을 얻었으며, △‘이용자 가족과의 갈등’(25.5%) △‘이용자와의 갈등’(12.6%)이 다음을 차지했다.

활동지원사 인권 향상을 위해 개선돼야 할 점으로는 ‘처우개선’이 58.5%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인권존중 및 인권교육 강화’(23%) △‘근로환경 개선’(9.1%) △‘활동지원 중계기관 전담인력 교육강화’(4.3%) △‘근무지침 마련’(3.1%) 순이었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이번 조사는 서울시 활동지원사의 근무 환경과 처우 등 실태를 들여다보기 위해 처음으로 실시”됐다며 “조사결과는 서울시 중증장애인전문활동지원기관, 활동지원사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 활동지원기관 지정 심사 등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해 지속적으로 활동지원사 처우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