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권신구 기자 서울시가 지난달 13일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한 뒤 강남권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가용수단을 총동원해 집값 상승 요인을 차단하겠다”고 공언했다.
최 대행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최근 서울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주택가격 상승세가 확대되는 모습”이라며 “정부는 부동산 시장 상황을 엄중히 인식하고 주택가격 불안이 확산되지 않도록 관계 부처와 지자체가 공조해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시가 지난달 13일 잠실·삼성·대치·청담동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한 뒤 서울 아파트 가격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월 둘째 주(1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전주 대비 0.20% 올랐다. 특히 송파구의 경우 0.72%, 강남구는 0.69%, 서초구는 0.62%의 상승세를 보였다.
이에 대해 최 대행은 “부동산 관련 규제, 금융 등 모든 가용수단을 총동원해 집값 상승 요인을 차단하겠다”며 “재건축 촉진법 제정, 신축매입임대 11만호 적기 공급, 수도권 신규 택지 미분양 매입확약 등 주택공급 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하는 한편 시장 질서 교란 등 투기거래를 엄단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시장 상황을 철저히 모니터링하고 시장 불안이 지속될 경우 특단의 추가 조치도 강구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 대행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과 관련해 “지난 12일부터 철강,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부과가 시작됐고 4월 2일에 상호 관세도 예고돼 있다”며 “그러나 구체적인 정책 내용과 주요국 대응 동향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매우 커서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한걸음, 한걸음’이 중요하다”며 “정부는 업계와 더욱 긴밀히 소통하면서 필요한 분야의 필요한 조치들을 계속 마련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