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손지연 기자 여권 차기 대권주자로 손꼽히는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총선 후 거취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치권에선 총선 결과에 따라 한 위원장의 당권도전과 정계 은퇴 가능성을 점치기도 한다. 전문가들 역시 이에 대한 의견이 엇갈렸다.
전문가들은 여당이 110~120석 이상 획득할 경우 한 위원장의 당권도전 가능성을 높게 봤다. 승리하지는 못했지만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총선 패배의 결과가 이른바 ‘용산발 리스크’ 때문이라는 점도 한 위원장의 당권 도전 가능성을 높게 보는 이유다. 당 지지율이 낮은 상황에서 지난 총선(103석)보다 높은 의석수를 기록한다면 이를 ‘명분’으로 삼을 수 있어서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현재 의석보다 한 석이라도 넘으면 선전했다고 할 것”이라며 “당연히 총선 이후 한 위원장이 당 대표를 하겠다고 나설 것”이라고 봤다.
최요한 정치평론가 역시 “민주당 의석이 과반이 넘을 텐데, ‘200석 저지했다’, ‘선방했다’며 탄핵 저지선을 지킨 점을 강조하며 당권에 나설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한 위원장의 당권 도전 가능성을 낮게 보는 의견도 나왔다. 윤석열 대통령의 임기가 3년여 남은 상황에서 일단은 숨 고르기에 돌입한 뒤 정치적 행보를 고민할 것이란 분석이다.
최병천 신성장경제연구소 소장은 “당권 도전은 거의 없다고 본다”며 “윤 대통령의 임기가 3년이 남은 상황에서 지금 문제는 대권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한 위원장이) 자리를 비켜주고 대통령의 시간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130석 이상의 결과가 나왔을 때 한 위원장의 공을 치하할 것이고 이럴 때 본인을 낮추는 것이 합리적인 판단”이라고 주장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당권 도전은 안 할 것”이라며 “정상적이라면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 교수는 “3년 동안 당 대표를 할 수 없고 이미지 소모도 심할 것”이라며 “이기든 지든 조용하게 있다가 지방선거 때 다시 나와서 선거를 지휘하고 이후 바로 대선으로 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이번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100석 이하를 차지할 경우 한 위원장에 대한 정계은퇴 압박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개헌저지선도 지키지 못한 책임으로부터 한 위원장이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100석 이하가 됐을 경우, 한 위원장의 퇴진은 당연한 수순이다.
당 내에서도 한 위원장의 용퇴론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김성태 국민의힘 서울권역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은 지난 8일 SBS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총선을 이기기 위해 소방수로 들어온 한 위원장의 역할은 여기(총선)까지"라며 “총선 후에도 한 위원장이 당정의 중심에 서면 (남은) 국정운영 3년 1개월이 묻힌다”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 총선 결과가 윤석열 정부 운명 좌우
- [총선 D-1] 여당, 막판 지지층 결집 호소
- 여당의 야당 심판론 ‘실효성 있을까’
- [총선D-2] 다급한 국민의힘, 곳곳서 ‘읍소 전략’
- 이재명 ‘일하는 척’ 발언 정조준한 국민의힘
- 한동훈, 신촌서 사전투표... 이재명, ‘국민 입틀막’
- [총선 판세] 박빙지역 50여 곳이 판세 좌우
- [사전투표 D-1] 여야, 격전지 사수에 ‘사활’
-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 일제히 ‘투표’
- 국민의힘 “민주당, 노인 비하 버릇 못 버려”… 정청래 “흑색 선동”
- [22대 총선 지상파 3사 출구조사] 범야권 ‘압승’ 예상… 여당 ‘개헌저지선’ 위태
- 김재섭, 민주당 텃밭 도봉갑서 ‘깜짝 승리’
- 22대 총선 개표 완료… 민주·민주연합 ‘175석 압승’
- 한동훈, 여권 총선 참패에 책임지고 ‘비대위원장직 사퇴’
- 한동훈과 이준석에 대한 김종인의 평가
- 한동훈, 윤석열 대통령 오찬 거절… 김경율 “홍준표와 만남에 서운했을 것”
- ‘윤-한 갈등’ 본격화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