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4년 산후조리 실태조사’에 따르면, 출산 후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의 비율이 85%로 나타났다. / 뉴시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4년 산후조리 실태조사’에 따르면, 출산 후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의 비율이 85%로 나타났다. / 뉴시스

시사위크=이민지 기자  출산 후 산모의 산후조리원 이용률이 85%에 달하며, 평균 산후조리원 이용비가 286만5,000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5일 보건복지부는 ‘2024년 산후조리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산후조리 실태조사는 ‘모자보건법’ 제15조의 21에 따라 산후조리 분야 정책 수립에 필요한 통계자료 구축을 통해 임산부‧신생아 대상으로 건강 및 안전 관련 사항을 조사한다. 2024년 산후조리 실태조사는 2018년 처음 조사가 실시된 이후 세 번째로 진행된 실태조사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9~10월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2023년 출산한 산모 3,221명이 산후조리 일반현황과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 등에 대해 답했다. 

해당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산모들이 산후조리를 많이 하는 장소(중복 응답 가능)로 산후조리원이 85.5%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얻었다. 이어 △본인집 84.2% △친정 11.2% △시가 1.0% 순으로 나타났다.

산후조리 기간은 평균 30.7일로, 본인집(22.3일)에서 보내는 기간이 가장 길었다. △친정 20.3일 △시가 19.8일 △산후조리원 12.6일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은 26.8일에서 22.3일로 다소 줄어든 반면, 산후조리원에서의 기간은 12.3일에서 12.6일로 늘었다.

산후조리원에서 지내는 기간 동안 평균 사용하는 비용은 286만5,000원으로, 2021년(243만1,000원)에 비해 43만4,000원 증가했다. 집(본인‧친정‧시가)에서는 평균 125만5,000원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출산 직전 취업상태였던 산모는 82%로, 이 중  출산휴가는 58.1%, 육아휴직은 55.4%가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 김상희 인구아동정책관은 “출산 후 지원정책 수립‧추진을 위해 2021년에 이어 세 번째로 실시된 산후조리 실태조사를 통해 변화된 산후조리 현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건강한 산후조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산모들의 정책 욕구를 충분히 검토해 필요한 정책을 개발‧추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