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이민지 기자 출산 후 산모의 산후조리원 이용률이 85%에 달하며, 평균 산후조리원 이용비가 286만5,000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5일 보건복지부는 ‘2024년 산후조리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산후조리 실태조사는 ‘모자보건법’ 제15조의 21에 따라 산후조리 분야 정책 수립에 필요한 통계자료 구축을 통해 임산부‧신생아 대상으로 건강 및 안전 관련 사항을 조사한다. 2024년 산후조리 실태조사는 2018년 처음 조사가 실시된 이후 세 번째로 진행된 실태조사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9~10월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2023년 출산한 산모 3,221명이 산후조리 일반현황과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 등에 대해 답했다.
해당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산모들이 산후조리를 많이 하는 장소(중복 응답 가능)로 산후조리원이 85.5%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얻었다. 이어 △본인집 84.2% △친정 11.2% △시가 1.0% 순으로 나타났다.
산후조리 기간은 평균 30.7일로, 본인집(22.3일)에서 보내는 기간이 가장 길었다. △친정 20.3일 △시가 19.8일 △산후조리원 12.6일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은 26.8일에서 22.3일로 다소 줄어든 반면, 산후조리원에서의 기간은 12.3일에서 12.6일로 늘었다.
산후조리원에서 지내는 기간 동안 평균 사용하는 비용은 286만5,000원으로, 2021년(243만1,000원)에 비해 43만4,000원 증가했다. 집(본인‧친정‧시가)에서는 평균 125만5,000원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출산 직전 취업상태였던 산모는 82%로, 이 중 출산휴가는 58.1%, 육아휴직은 55.4%가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 김상희 인구아동정책관은 “출산 후 지원정책 수립‧추진을 위해 2021년에 이어 세 번째로 실시된 산후조리 실태조사를 통해 변화된 산후조리 현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건강한 산후조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산모들의 정책 욕구를 충분히 검토해 필요한 정책을 개발‧추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기자수첩] 치솟는 산후조리원 비용… 공공부문이 적극 나서야
- 정부, ‘이른둥이’ 지원 강화… 출산부터 양육까지 챙긴다
- 출산율 낮추는 원인… ‘고용’과 ‘주거 불안’
- 아이돌봄 인력 국가자격제 도입… 아이돌보미 자질 검증 강화
- 두산그룹, 육아휴직 동료까지 챙긴다… 출산·육아지원제도 강화 ‘눈길’
- 출산율 9년 만에 올랐다… 지난해 합계출산율 0.75명
- “최대 3억원 보상”… 분만사고 지원한도 대폭 상향된다
- [인터뷰] “저출산 시대 극복, ‘임산부 배지 선순환’이 첫걸음이 될 것”
- 맞돌봄 확산 위해 ‘아빠 보너스제’ 인상… 최대 2,520만원 지원
- 쌍둥이 키우는 엄마, 2명 중 1명 우울증… “정서 지원 절실”
- 사회복지시설‧산후조리원 위생 점검… ‘식품위생법’ 위반 11곳 적발
- “초보아빠 육아고민 나눠요”… ‘100인의 아빠단’, 찾아가는 멘토링 개최
- 2주에 4,020만원 ‘강남 산후조리원’… 전국 최고-최저 이용요금 차이 33.5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