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권신구 기자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참석을 계기로 한미일 외교장관이 만나 한반도 비핵화 원칙과 대북 억제 태세를 견지하는 가운데 대북정책 관련 긴밀한 공조를 유지해 나가기로 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대신과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를 갖고 한반도 및 지역 현안과 한미일 3국 간 경제안보 협력 증진 방안 등을 논의했다. 조 장관은 “장관급 회의만 4번째 개최되는 등 한미일 협력 의지가 그 어느 때보다 강할 때 취임 후 처음 한미일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하게 돼 뜻깊게 생각한다”며 “역내 문제 및 경제안보 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각급 정책 공조 증진에 유용한 틀”이라고 했다.
3국 장관은 그간 한미일 안보협력, 사이버 대응 공조 등 성과를 평가하고 한반도 비핵화 원칙 등을 재확인했다. 이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대화와 외교를 통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는 가운데,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른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하였다”며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에 함께 대응할 필요성과, 다른 국가들과 협력하에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의 위반·회피에 단호히 대응함으로써 대북 제재 레짐을 유지·강화할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명문화했다.
장거리 미사일 등 북한의 군사역량에 대한 러시아의 지원 영향을 포함하여 북한과 러시아의 증가하는 군사협력에도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3국 정상은 러시아와 북한이 이러한 모든 활동을 즉시 중단하고 유엔 헌장 및 모든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를 준수할 것을 촉구했다. 조 장관은 “대북 대화 재개를 비롯하여 한반도 평화와 북핵 문제 해결의 실질적인 진전을 위해 적극 협력해 나가자”고도 했다.
또한 3국 장관들은 경제안보 협력 및 첨단 기술 분야에서의 공조를 심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조 장관은 미국의 첨단기술, 제조업 르네상스를 위한 협력 의지를 재확인하고 조지아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개선, 새로운 비자 제도 도입 등에 대한 미국 측의 각별한 조치를 당부했다. 이와 관련해 루비오 장관은 “이는 3국이 아닌 양자차원의 문제이나 우호적 동맹관계 등을 고려하여 주속한 문제 해결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