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연구소, 남극과학기지 월동연구대 발대식 개최
시사위크=박설민 기자 내년 한국의 남극과학기지를 지킬 월동대원들이 출정식을 마쳤다.
극지연구소(KOPRI)는 16일 인천 연수구 극지연구소 청사에서 남극과학기지 월동연구대 발대식을 개최했다. 발대식에는 신형철 소장과 연구소 임직원이 참석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영상 축사로 대원들을 격려했다.
월동연구대는 약 1년간 남극에 상주하며 연구와 기지 운영을 책임지는 팀이다. 올해는 세종과학기지에 제39차 월동연구대(대장 양정현), 장보고과학기지에 제13차 월동연구대(대장 최태진)가 파견된다. 월동연구대는 앞서 기지 생활을 위한 훈련과 소양 교육을 마쳤다. 장보고 월동대는 11월 2일과 7일 두 차례로 나눠 세종 월동대는 11월 26일에 출국할 예정이다.
세종기지는 1988년 서남극 킹조지섬에 건설된 우리나라 최초의 남극과학기지다. 기후변화, 해양, 대기, 생물자원 연구의 거점 역할을 해왔다. 장보고기지는 2014년 동남극 북빅토리아랜드에 세워진 첨단 연구시설로 빙하, 지질, 우주과학 연구를 수행하며 우리나라 극지 연구 범위를 확장했다.
내년 2월을 기준으로 두 기지 운영 기간을 합산하면 50년을 맞는다. 이는 우리나라가 극지에서 쌓은 반세기 연구 역량을 의미한다. 향후 기후변화 대응과 국제협력 연구를 이끄는 기반이 될 전망이다.
신형철 극지연구소 소장은 “세종과 장보고 기지의 운영 기간을 합치면 50년에 이른다”며 “앞으로도 안전과 연구 성과를 최우선으로 하여 다음 50년을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⑫] 기후적응 시대: 위기에서 길을 찾다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⑪] 기후의 알림: 앞마당을 뺏긴 사람들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⑩] 기후의 모래시계: 사라지는 백사장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⑨] 기후의 전환: 제주 앞바다의 ‘새 손님’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⑧] 기후의 적신호: ‘국민 횟감’의 위기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⑦] 기후의 역습: 남극에서 한반도로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⑥] 유독한 바다: 도모산의 습격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⑤] 남극의 그림자: 조용한 죽음 ‘산성화’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④] 남극의 붕괴: 무너진 바다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③] 남극의 딜레마: 탐험이 만든 균열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②] 남극의 경고: 이상한 계절의 동물들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①] 남극의 외침: 빙하가 울고 있다
- 북극 빙하 후퇴 막던 ‘자연 방파제’ 원리는
- 장보고기지의 아버지, 김예동 전 극지연구소장, ‘운암지질학상’ 수상
- 극지연, K-바이오랩과 혁신 기술 개발 나선다
박설민 기자
ihatefree1@sisaweek.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