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올해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콘텐츠 사업 부문이 고성장함과 동시에 커머스, 핀테크 사업 부문의 견조한 성장세가 3분기 실적을 견인했다. /뉴시스
네이버가 올해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콘텐츠 사업 부문이 고성장함과 동시에 커머스, 핀테크 사업 부문의 견조한 성장세가 3분기 실적을 견인했다. /뉴시스

시사위크=송가영 기자  네이버가 올해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콘텐츠 사업 부문의 성장이 두각을 드러낸 가운데 커머스, 핀테크 등 기존 사업의 견조한 성장세가 3분기 실적을 견인했다. 

네이버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9.9% 오른 3,498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매출은 1조7,27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9%를 기록했다. 영업이익과 매출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이다.

사업 부문별로 매출을 살펴보면 △서치플랫폼은 8,249억원 △커머스는 3,803억원 △핀테크는 2,417억원 △콘텐츠는 1,841억원 △클라우드는 96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기록한 사업 부문은 콘텐츠였다.

콘텐츠 사업부문 매출은 웹툰과 스노우의 글로벌 사업 성장세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60.2% 증가한 1,841억원으로 집계됐다. 웹툰 매출은 글로벌 크로스보더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전년 동기 대비 79% 성장했다. 이와 함께 국내 웹툰 이용자는 역대 최대치는 1,400만명, 월거래액은 1,000억원을 돌파했다. 북미 시장에서의 경우 DC코믹스, 배트맨 오리지널 웹툰 론칭 일주일만에 구독자 50만명을 확보하는 등의 성과를 거뒀다.

스노우 매출은 카메라 서비스, 제페토 등 MZ세대를 겨냥한 서비스 중심으로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이상 늘었다. 타 사업 부문 대비 고성장을 이룬 만큼 네이버는 웹툰과 스노우의 기업공개(IPO) 가능성도 언급했다. 박상진 네이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21일 컨퍼런스콜을 통해 “지난 3분기 대비 매출이 많이 늘었는데 현재는 IPO 계획이 잡혀있지 않지만 장기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커머스와 핀테크는 이번 분기에도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했다. 커머스 사업부문 매출은 △쇼핑라이브 △브랜드스토어 △스마트스토어의 성장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33.2% 오른 3,803억원을 기록했다. 

네이버에 따르면 쇼핑라이브는 100만뷰 이상 초대형 라이브, 100억 매출 브랜드들이 등장하며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13배 늘었고 브랜드스토어는 550여개를 돌파하며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기 3배 이상 올랐다.

네이버는 일본 시장에 베타 오픈한 스마트스토어를 통해 커머스 사업을 확장하는데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21일 컨퍼런스콜을 통해 “지난 9월 일본에서 스마트스토어 판매자 모집을 시작했으며 지난 20일 베타 오픈했다”며 “라인메신저 연계와 Z홀딩스 협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사업을 확장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핀테크 사업부문 매출은 2,41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9% 올랐다. 네이버페이 결제액은 네이버페이 앱, 네이버 현대카드 등 신규 서비스 출시 효과로 9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 올랐다. 

네이버가 최근 힘을 싣고 있는 클라우드 사업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6.2% 오른 962억원으로 집계됐다. 신규 고객사 확대와 공공영역 클라우드 전환을 선도하며 매출을 견인했으며 향후 △OCR △인공지능(AI) 콜 △얼굴인식 등 클로바 기술 기반의 클라우드 상품화를 진행해 선보일 예정이다.

이 외에도 서치플랫폼 사업부문은 UGC 생태계 활성화와 검색기술 개선, 성과형 광고 등의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6.2% 증가한 8,249억원으로 집계됐다. PC에서 성과형 광고의 도입으로 서치플랫폼 내 디스플레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3.2% 올랐다.  

올해 3분기 매출, 영업이익 등이 최고치를 달성했으나 후진적 조직 문화로 줄곧 비판받아온 네이버는 선진 인권 경영을 거듭 약속했다. 한 대표는 “건강한 조직 문화 조성을 최우선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외부 전문기관을 통해 조직 문화 전반에 대한 진단을 실시해 유의미한 데이터를 취합했다”며 “최고경영자(CEO) 직속의 인권조직을 신설해 전사 인권 정책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