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손지연 기자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율이 67%로 잠정 집계됐다. 21대 총선보다 0.8%p(퍼센트포인트) 상승한 기록으로, 1992년 14대 총선(71.9%) 이후 32년 만에 가장 높은 투표율이다.
1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오후 6시 기준 전체 유권자 4,428만11명 중 2,966만2,313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22대 국회의원 선거 최종 투표율은 67%로 잠정 집계됐다. 최종 투표율은 개표가 완전히 끝나는 11일 오전 확정될 전망이다.
문민정부 이후 역대 총선 투표율은 △15대 63.9% △16대 57.2% △17대 60.6% △18대 46.1% △19대 54.2% △20대 58.0% △21대 66.2%다.
지역별 투표율은 세종시가 70.2%(오후 7시 기준)로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시로 62.2%를 기록했다.
투표율이 두 번째로 높은 곳은 69.3%를 기록한 서울이었다. 이어 △전남 69% △광주 68.2% △경남 67.6% △부산 67.5% △전북 67.4% △울산 66.9% △경기 66.7% △강원 66.6% △대전 66.3% △인천 65.3% △충북 65.2% △경북 65.1% △충남 65% △대구 64.0% 순이다.
서울의 경우 최대 격전지로 꼽힌 ‘한강벨트’ 동작을(더불어민주당 류삼영-국민의힘 나경원)이 있는 동작구 투표율이 72.2%로 가장 높았다. 이외에도 강북구와 중랑구, 금천구, 관악구를 제외한 모든 서울 지역 투표율이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수도권이 이번 총선 최대 승부처였던 만큼, 여야 표심이 치열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이번 총선의 높은 투표율은 사전투표율이 견인했다. 지난 5~6일 이틀간 실시된 사전투표율은 31.28%로, 2013년 사전투표 도입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21대 총선 사전투표율 26.69%보다 4.59%p 높았다.
개표는 현재 전국 254곳 개표소에서 진행되고 있다. 수검표 제도가 처음 시행되면서 지난 총선과 비교해 개표가 느리게 진행될 전망이다. 특히 비례대표 용지는 역대 최장 길이인 51.7cm에 달해 분류기를 사용할 수 없다. 이르면 내일 새벽 혹은 아침에야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 [22대 총선 지상파 3사 출구조사] ‘압승’ 결과에 환호한 민주당… 국민의힘은 ‘침통’
- [22대 총선 지상파 3사 출구조사] 범야권 ‘압승’ 예상… 여당 ‘개헌저지선’ 위태
- 여야, 본 투표율 저조하자 일제히 ‘투표 독려’
- 총선 결과가 윤석열 정부 운명 좌우
- 사전투표율, 역대 총선 최고 기록… 총투표율, 70% 넘을까
- 김재섭, 민주당 텃밭 도봉갑서 ‘깜짝 승리’
- 22대 총선 개표 완료… 민주·민주연합 ‘175석 압승’
- 안철수, 출구조사 뒤집고 승리... 총선 결과 ‘국민의 회초리’
- 한동훈 빈자리, '비윤'이 채울까
- 22대 총선서 지역구 여성 당선자 ‘36명’... 사상 첫 여성 국회의장 배출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