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위크=서예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1일 ‘주 69시간 근로 논란’과 관련해 “주 60시간 이상 근무는 무리”라며 “임금, 휴가 등 근로 보상체계에 대해 근로자들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특히 노동시장의 이중구조가 만연한 우리 사회에서 노동 약자들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확실한 담보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이같은 내용을 밝히며 “근로자들의 건강권, 휴식권 보장과 포괄임금제 악용 방지를 통한 정당한 보상에 조금의 의혹과 불안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이날 국무회의는 생중계로 진행됐으며, 윤 대통령은 최근 논란이 됐던 ‘주 69시간 근로’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윤 대통령은 “최근 주당 최대 근로시간에 관해 다소 논란이 있었다”며 “저는 주당 60시간 이상의 근무는 건강보호 차원에서 무리라고 하는 생각은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물론 이에 대해 근로시간 유연화 정책의 후퇴라는 의견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러나 주당 근로시간의 상한을 정해놓지 않으면 현실적으로 노동 약자들의 건강권을 지키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선 근로시간에 관한 노사 합의 구간을 주 단위에서 월, 분기, 반기, 연 단위로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만으로도 노사 양측의 선택권이 넓어지고 노동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우리 사회 노동개혁의 첫째 과제는 누가 뭐라해도 노사법치의 확립”이라며 “산업현장에서 불법과 폭력은 반드시 추방해야 한다. 이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고 힘줘 말했다.
이어 “노동개혁의 또 하나의 과제인 노동시장 유연화는 그 제도의 설계에 있어 국민의 의견을 충분히 청취하고 수집할 것”이라며 “특히 MZ 근로자, 노조 미가입 근로자, 중소기업 근로자 등 노동 약자와 폭넓게 소통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노동시장 유연화 등 새로운 입법이 필요한 노동개혁 과제에 대해 국민들께서 좋은 의견을 많이 제시해달라”며 “국민을 위한 제도를 만드는데 조급하게 서두르지 않고 충분히 숙의하고 민의를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대통령실, 尹 ‘주 60시간’ 발언에 “가이드라인 아니다”
- 민주당, 대여공세에 열 올리는 까닭
- 복합 위기 직면한 여권… ‘경고등’ 켜진 지지율
- 윤석열 대통령 “주 60시간 이상 근무 무리” 지적
- 여론악화 몰고온 ‘주69시간 근로제’
- ‘근로시간 개편안’ 확정에 ‘엇갈린 반응’
- 주 ‘69시간’ 실현되나… 노동계 “장시간노동체계 회귀” 반발
- 근로시간 개편안 엇박자 ‘도마 위에 올랐다’
- 가이드라인 논란만 낳은 ‘주 60시간’ 발언
- ‘미국 반도체법 가드레일’ 대응 외교 노력 강조한 대통령실
- 윤석열 대통령 “근로시간 유연화, 건강권·휴식권 지키도록 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