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세종과학기지 고경준 제38차 월동연구대 기상 대원 인터뷰
기상청 공무원, 기상관측 및 예보, 관측기 운영 관리 업무로 파견
얼음의 땅 ‘남극’은 흔히 ‘미지의 대륙’이라 불린다. 인류의 손길이 제대로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세상의 끝’ 남극에서 지구의 미래를 준비하는 이들이 있다. 남극세종과학기지의 월동연구대와 하계연구대가 그들이다. 거대한 빙하, 바다를 떠도는 유빙, 몸을 가눌 수 없을 정도의 강한 블리자드(눈보라). 어떤 위험에도 그들은 남극을 지킨다. 우리는 이들을 ‘국가대표 극지인’라 부르기로 했다. 시사위크 남극특별취재팀이 남극세종과학기지를 찾아 그들을 만나봤다. [남극특별취재팀=김두완 기자, 박설민 기자]
시사위크|남극=남극특별취재팀 “날씨 예보가 필요하다면 어디든 간다. 그곳이 남극이어도 상관 없다. 기상청 예보관의 사명이라 생각한다.”
지난해까지 제주도에서 태풍 경로 파악 및 예보 업무를 담당하던 고경준 태풍예보관은 올해는 남극 세종기지에 왔다. 하루 1시간 간격으로 변하는 변덕스러운 남극 날씨를 예측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남극의 날씨 예보는 틀려선 안된다. 대원들의 안전 및 임무 수행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이것이 제38차 월동연구대 고경준 기상 대원이 남극에 1년간 머무는 이유다. 그에게 세종기지 ‘오늘의 남극 날씨 예보’를 들어봤다.
◇ 남극 예보, 하루 두 번… 정확도가 높은 이유
남극세종과학기지(이하 ‘세종기지’)에서 첫 번째 관심사는 ‘날씨’다. 세종기지의 모든 연구와 업무는 날씨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그래서 항상 날씨를 확인하는 것이 필수다.
세종기지의 기상예보는 하루에 두 번 이뤄진다. 오전 8시와 오후 6시다. 하루 일과의 시작과 종료 시점에 날씨를 알림으로써 업무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세종기지의 기상예보는 단기예보(3일)와 주간예보로 구성돼 있다. 주간예보는 날씨와 야외활동 여부만 간략히 나오지만, 단기예보는 △일기도 △날씨 △바람 △최저‧최고기온 △일출‧일몰시간 △파고 △만조‧간조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단기예보에서는 야외활동(해상 및 육상) 여부를 시간대별로 확인할 수 있는데 연구자를 비롯해 월동대 모두가 가장 먼저 체크하는 포인트다.
세종기지의 기상 정보는 모든 인원에게 온‧프라인을 통해 빠르게 전파된다. 예보 시간이 되면 오프라인 게시판에는 기상예보 문서가 부착된다. 온라인으로는 세종기지 공지 앱(‘쳇’)을 통해 기상예보 문서가 각 대원들에게 전달된다. 사소한 듯 보여도 날씨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배려다. 이 역할의 중심은 바로 고경준 기상 대원이다.
고경준 기상 대원은 세종기지로 파견 온 기상청 공무원이다. 기상청에 입사한 순간부터 남극에 오고 싶었다는 그는 15년 만에 그 꿈을 이뤘다. 하지만 세종기지에서 기상 관측 업무는 쉽지 않다. 고 대원은 기상예보를 위해 하루 4번 6시간 간격으로 남극의 기상 상황을 관측한다. 세종기지 현지시간으로 09시, 15시, 21시, 03시(UTC 기준 00시, 06시, 12시, 18시)에 데이터를 관측한다. 사실상 24시간 당직 업무를 매일 수행하는 셈이다.
세종기지의 기상예보에 대한 민원은 사실상 제로에 가깝다. 이는 기상예보의 정확도가 높다는 뜻이다. 고경준 대원은 “남극은 중위도처럼 여러 기단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기상예보 정확도가 높다”며 “반면, 우리나라는 중위도에 속해 있어 날씨 예측이 어렵고, 환경적 고려 요소도 적지 않아 변수가 많이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에서는 날씨와 관련해 사람들이 틀린 것만 더 잘 기억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많았다”며 “하지만 남극에서는 변수가 적어 기상예보에 훨씬 수월한 면이 있고, 대원들이 신뢰를 많이 해줘서 감사하게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 남극 바람이 말하는 기후변화
세종기지는 해안가에 위치하고 기상학적으로 고위도 저압대에 속해 있다. 따라서 중위도 편서풍과 극동풍이 만나 ‘극전선(Polar Front, 기온차로 편서풍대와 극지대 사이에 생기는 기상전선)’ 형성이 빈번하고 기압골의 통과로 기상 변화가 심하다. 따라서 기압이 낮고 강한 상승류의 발달로 흐린 날이 많고 바람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바람이 일상이다 보니 불어오는 바람을 얼굴로 맞다보면 방향을 알기도 한다. 볼 끝에 스치는 바람이 차갑고 매섭다면 동풍이다. 동쪽은 빙벽으로 이뤄진 마리안 소만이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비교적 따듯한 바람이 불 때는 서풍으로, 세종기지 서쪽 맥스웰만(바다)의 영향이다. 또 간혹 코끝을 찌르는 쾌쾌한 냄새가 나는 바람이 불 때가 있다. 이는 바로 남동풍이다. 기지 남쪽에 있는 펭귄마을의 영향으로 펭귄 배설물 냄새가 바람을 타고 오는 것이다.
바람의 방향이 기후변화를 체감하게 만들기도 한다. 예컨대 북풍의 매서운 바람은 세종기지 앞 해안가를 금세 유빙으로 덮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유빙들은 마리안소만 빙하를 비롯해 포어카데빙하, 콜린스만 빙하 등이 무너지면서 발생한 것으로 빙하의 후퇴를 직접 느끼는 순간이다.
실제로 기후변화로 인한 남극의 빙하후퇴는 점점 더 가속화하는 실정이다. 이는 세종기지가 위치한 서남극(West Antarctica)만의 문제가 아니다. 서남극보다 기온이 낮고 빙하가 두꺼운 동남극(East Antarctica)에서도 빙하 붕괴로 인한 유빙 발생이 급증하고 있다. 영국 더럼대학교, 호주남극과학센터 등 국제 공동연구진이 2022년 8월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게재한 연구결과에서도 이 같은 사실이 확인 가능하다.
국제 연구진에 따르면 최근 남극 대륙 내 동남극 지역 빙하는 수십 년간 수km에 걸쳐 후퇴하는 추세다. 특히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된 기간 동안 빙하가 붕괴돼 상당한 질량 손실이 발생했다. 다만 지구 온도 증가를 섭씨 2도 이하로 제한하는 ‘파리협정’이 꾸준히 충족될 경우, 남극 대륙 내 빙하 손실을 상당량 막을 수 있다는 것이 연구의 핵심 내용이다.
고경준 대원은 “기후변화는 단기간에 체감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 10년 단위 누적 데이터를 확인하면서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이다”며 “하지만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은 최고기온이 영상 8도를 넘었다. 예년과 비교하면 (기온 상승이) 엄청난 변화다”라고 전했다.
/ 김두완 기자, 박설민 기자
관련기사
- [국가대표 극지인③] “내 꿈의 종착지는 아들과 함께 남극행”
- [국가대표 극지인②] 남극 세종기지에는 ‘살림남’이 살고 있다
- [국가대표 극지인①] “나는 남극 세종기지 월동대 대장이다”
- [국가대표 극지인⑤] “지구는 간빙기 시대… 일반적 사이클 아냐”
- 남극과 세상을 연결하는 ‘통신’ 이야기
- [국가대표 극지인⑥] 남극의 지치지 않는 ‘긍정 배터리’
- [국가대표 극지인⑦] “남극 기후변화, 바다 깊은 곳에 답이 있어요”
- [국가대표 극지인⑧] “남극의 별빛, 월동대원의 특권이죠”
- [국가대표 극지인⑨] 세종기지의 심장을 뛰게 하는 ‘유지반장’
- [국가대표 극지인⑩] 나는야 남극 세종기지 ‘맥가이버’
- [국가대표 극지인⑪] “남극의 추위, ‘짜릿한’ 즐거움이죠”
- [국가대표 극지인⑫] ‘남극의 엔진’ 지키는 조력자의 하루
- [국가대표 극지인⑬] 변화무쌍 남극 바다, 바다 사나이가 접수하다
- [국가대표 극지인⑭] ‘조금’ 더 바쁜 중장비대원의 하루
- [국가대표 극지인⑮] 굴삭기와 기타가 그리는 ‘남극의 선율’
- [국가대표 극지인⑯] 남극과 세상을 잇는 ‘어린왕자’
- [국가대표 극지인⑰] 지구의 끝, ‘남극병원 24시’
- [국가대표 극지인⑱] ‘남극 셰프’의 얼음 위 따뜻한 한 끼
- ‘세상의 끝’ 극지 의사들이 일하는 방식

